세종고속도로 광주구간 '민민 갈등' 심화

비대위 '직선화' 서명 운동
양지마을 '일방 민원' 맞서
'특정사 특혜' 주장도 나와
  • 이윤희 기자
  • 발행일 2016-07-08
20160707_141725
서로 다른 목소리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의 광주구간과 관련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는 현수막이 시내 한복판에 내걸렸다.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서울~세종 고속도로의 경기 광주구간(10공구) 개설을 놓고 민민(民民)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최근 해당 도로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 및 설명회가 진행된 가운데 사업구간 인근의 주민 및 기업체 등을 중심으로 이해관계가 얽혀가고 있다.

크게 보면, 광주구간내 굽은 도로를 직선화하라는 입장과 이에 맞서 당초 설계대로 해나갈 것을 요구하는 입장이 상충하고 있다. 여기에 사업구간내 자리한 S사의 경우, 주민들이 특혜의혹을 제기하고 나서자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먼저 주장을 펴고 나선 것은 직선화를 요구하는 '서울~세종고속도로 직동·목동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다.

직동과 목동 주민과 염소골 공단 관계자들로 구성된 비대위는 "광주 직동구간의 계획 노선도가 예비타당성 조사자료와는 다르게 굽은 도로로 설계돼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크다"며 지난 4월 공청회가 열린 직후 행동에 들어가 노선 직선화 요구를 담은 서명서를 정부기관에 제출하는 등 행동에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직동 양지전원마을 주민측은 최근 현수막 등을 통해 "(비대위의 주장과 관련해) 양지전원마을 주민들의 동의없는 일방적인 민원에 결사적으로 반대한다"며 "굽은 도로는 미관으로도 아름답고 충분한 지리조사를 하고, 최선을 다해 설계한 것으로 적극 지지한다"는 지지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사업구간 인근에 위치한 S사는 비대위측 등이 '노선 설계가 굽은 도로로 돼 있는 것이 특정업체(S사)와 관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을 펼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직선화 불똥이 자신들로 번지자 반박 기자회견까지 열려다 취소하기도 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