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광역버스 요금 인상계획이 당분간 미뤄지게 됐다. 인천시가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의 요금 인상을 충분한 검토 없이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인천시 버스정책위원회는 11일 회의를 열고 기본요금 인상, 거리비례 요금제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천시 광역버스 요금조정안' 심의를 보류했다. "시민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는 만큼, 광역버스 업체의 운송수익 현황과 거리비례 요금제도입 타당성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버스정책위는 외부 전문기관에 검증 용역을 의뢰하라고 주문했다.
이번 요금조정안은 광역버스 기본요금을 일반기준 최대 200원 인상하고, 30㎞ 이상 이동할 때 5㎞마다 100원의 추가요금이 부과되는 거리비례 요금을 도입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인천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노선의 경우 기본요금에 100원 정도만 더 내면 되지만, 강남역까지 가는 노선은 최대 700원을 더 내야 한다.
버스정책위는 광역버스 요금 인상안을 최근 한달 새 3차례나 심의했다. 한 가지 안건에 대해 이처럼 자주 회의가 열린 건 매우 드문 경우다. 심의결과는 모두 '보류'였다.
인천시가 버스정책위 위원들을 설득하지 못한 셈이다. 시가 충분한 검토 없이 무리하게 인상을 추진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버스정책위 한 위원은 "인천시가 인상요금 적용 시점을 10월 1일에 맞추고 추진하다 보니 시간에 쫓긴 것 같다"며 "꼭 그날 (인상을) 안 해서 생기는 문제가 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경영상황 악화 등 어려움을 호소하는 업계의 요구와 시민의 안정적인 광역버스 이용을 위해 인상을 검토했던 것"이라며 "10월 1일 적용은 꼭 특정된 건 아니다"고 했다. 이어 "버스정책위가 주문한 용역을 시행한 뒤 다시 회의가 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