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9일 여주시 흥천면사무소 회의실에는 80여 명의 주민대표와 시의원 등이 제2영동고속도로 이포IC를 흥천IC로 복원하는 '흥천IC 명칭사수 투쟁위원회 발대식'을 가졌다. /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 |
제2영동路 여주구간 나들목
지역주민 의견 수렴도 없이
흥천IC에서 이포IC로 변경
흥천·금사면 주민대립 확산
오는 11월 개통 예정인 제2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 여주시 구간 나들목(이하 IC) 명칭이 흥천IC에서 이포IC로 변경돼 지역 주민간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당초 원주국토관리청은 여주시에 흥천IC에서 이포IC로 명칭 변경 의견을 물었고, 여주시는 아무런 의견수렴과 논의 없이 '이견 없다'고 답해 흥천IC가 갑자기 이포IC로 변경됐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여주시 흥천면과 이포리가 속한 금사면 주민 간의 갈등으로 번져 지난 19일 여주시 흥천면사무소 회의실에는 80여 명의 흥천면 주민대표와 시의원 등이 제2영동고속도로 이포IC를 흥천IC로 복원하는 '흥천IC 명칭사수 투쟁위원회 발대식'을 가졌다.
투쟁위에 따르면 2007년 10월 제2영동고속도로 주민설명회에서 여주구간 나들목이 흥천면 계신리에 위치해 '흥천IC'로 명칭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았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언론보도 등을 통해 명칭이 '흥천IC'에서 '이포IC'로 변경 발표됐다.
상황은 지난해 11월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여주시에 '이포IC' 명칭 사용의 의견을 물었고, 10일 만에 여주시는 주민 의견 수렴과 논의 없이 '이견 없다'는 답변을 회신했다.
언론 보도 이후 흥천면민이 반발하자 여주시는 원주지방국토관리청에 이포IC를 흥천IC로 재변경 요청했고, 이에 금사면 기관단체장들은 여주시와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을 항의 방문해 주민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사태는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흥천IC 사수 투쟁위 이재각 위원장은 "흥천 땅에 나들목을 만들면서 왜 금사면의 이포리 지명을 쓰느냐"며 "흥천면의 명예와 주민의 자존심마저 추락했다. 흥천면민이 단합해 희생의 각오로 흥천IC를 사수하자"고 말했다.
한편 금사면 주민들도 "나들목의 행정구역상 소재지는 흥천면이지만 사실상 이포 생활권으로, 이포IC는 당연한 결정"이라며"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이포보와 이포라는 지명은 세계적으로 여주시와 함께 홍보됐고 역사성 또한 흥천 보다 높다"라고 주장했다.
원주국토청 관계자는 "나들목 명칭 확정 과정에서 경기도와 여주시에 공문을 보내 여주시로부터 이포IC 사용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 확정을 받아 결정했다"며 "현재로서는 명칭 재변경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여주/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