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택시요금 인상안, 열흘만에 5% → 8%대

용역 보고서 운송원가 '돌연' 조정
서울 미세먼지 절감 노선제한 발표
대중교통 이용 '뚜벅이' 고충 커져
  • 강기정 기자
  • 발행일 2016-07-28
경기도 택시요금이 3년 만에 인상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경인일보 7월19일자 2면 보도) 연구용역보고서 상 5%대였던 요금 인상률이 열흘 만에 8%대로 재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용역업체에서 보고서를 낸 후 요금 인상률을 돌연 3%p가량이나 올린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택시업계의 요금인상 요구가 타당한지 검증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했던 도는 지난 21일 용역업체로부터 최종 보고를 받았다. 최종 보고서에는 현재 택시비보다 요금을 8.79% 인상하는 게 적정하다는 결론이 들어있다.

또 중형택시 1대의 1㎞당 운송원가가 지난해 기준 1천404원인데 실제 택시가 벌어들이는 수입은 1㎞당 1천291원에 불과해 수지를 맞추려면 요금을 지금보다 8.79% 올려야 한다고 돼 있다.

그러나 이 용역업체는 최종 보고 열흘 전인 지난 11일 적정 인상률을 5.04%로 산정한 다른 보고서를 작성해 도에 보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보고서에 따르면 중형택시의 운송원가는 지난해 기준 1천356원인 반면, 실제 벌어들이는 수입은 1천291원에 불과해, 요금을 5.04% 올려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열흘 후 재작성된 최종 보고서와 비교해보면 수입은 1천291원으로 동일하지만 운송원가는 48원이 조정돼, 결과적으로 적정 인상률이 3.75%p나 뛰었다.

건교위 소속 조광명(더·화성4) 의원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분석한 것도 아니고, 같은 업체에서 열흘 만에 적정 인상률을 3%p나 높게 고쳐온 것은 누가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분석"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최종 보고를 받긴 했지만 아직 인상률이 결정된 것도 아니고, 보고서를 검수하는 단계"라며 "지금 단계에선 뭐라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이날 서울시는 미세먼지 절감을 위해 내년 8월부터 저공해버스를 운행하지 않는 업체와는 노선 개설 협의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잔여 차령(車齡)이 2년 미만인 경유버스는 조기 폐차를, 2년 이상인 버스는 저감장치 부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하반기에 택시요금도 오르고 서울로 향하는 버스 노선 신설에도 일부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 만큼 경기도 '뚜벅이'들의 고충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