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3일 오후 청라국제도시역을 지나 영종대교 위를 운행 중인 공항철도 전동차 내 모습. 영종구간이 독립요금 구간으로 적용돼 공항철도 환승할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서울역에서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요금은 1천950원(현금 기준)이지만, 역 하나 차이로 영종역은 2천850원이다. 다음 역인 운서역은 3천350원으로 요금이 불어나고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
애초 1㎞당 88원 추가요금
현 130원까지 뛰어 불만↑
적용땐 연 180억 부담 난색
市 '주민카드' 발급 검토중
영종도 주민 등 인천시민의 부담을 키우는 구조로 설계된 공항철도 요금체계를 시급히 고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청라국제도시까지 적용되는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를 영종지역까지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인천시의 요구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재정부담 등을 이유로 곤란하다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다.
■ 시민 부담 키우는 요금체계독립요금제가 적용되는 청라국제도시역~인천국제공항역 구간 '추가 요금'은 1㎞당 130원으로 정해져 있다. 수도권통합요금제(서울역~청라국제도시역)가 적용되는 구간의 추가 요금은 5㎞당 100원이다. 독립요금제 구간에 추가요금이 붙는 거리기준은 수도권요금제의 5분의 1 수준으로 짧고, 거리 당 추가요금은 6배 이상 비싸게 설계된 것이다.
독립요금제 구간 추가요금은 정부가 정해 놓은 철도여객운임 상한 1㎞당 108.02원(일반철도차량 기준)보다는 20원 정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새마을호의 운임 상한 96.36원과 비교했을 때도 30원 이상 비싸다.
공항철도 독립요금제 추가요금은 애초 1㎞당 88원 수준이었다. 그런데 일부 구간(서울역~검암역)에 수도권통합요금제가 적용되면서 1㎞당 추가요금은 97원으로 올랐다. 2014년 수도권요금제 적용 범위가 청라국제도시역까지 확장되면서 현재 130원 수준으로 뛰었다. 영종 주민을 포함한 인천시민의 요금부담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영종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공항철도 인천구간의 요금이 지나치게 높게 설정돼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에 현 요금체계의 각종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 영종역·운서역 또는 영종주민만이라도국토교통부는 공항철도의 수도권요금제 확대 적용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공항철도에 투입되는 재정이 연간 3천억원 규모인데, 수도권요금제를 확대하면 요금 수입감소로 이어져, 180억원 규모의 재정을 더 투입해야 한다는 게 주된 이유다.
국토부는 수도권요금제 확대적용이 관광객 등 인천국제공항 이용객에게 공항철도이용 요금을 부담시키겠다는 현 요금체계의 기본 취지에도 어긋날 수 있다고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철도 수도권요금제 확대적용 문제는 지역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할 사안이 아니라고 본다"며 "하루 20만명이 이용하는 공항철도 요금을 국가 전체적인 틀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천시는 영종 주민들이 많이 사는 영종역과 운서역 구간을 수도권요금제 적용대상에 포함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수도권요금제 확대에 따른 정부의 재정지원 증가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민 불편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영종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주민 공항철도 이용카드'를 발급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검토 중이다. 영종 주민만이라도 수도권요금제 수준으로 공항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차액은 정부가 부담토록 한다는 개념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과 영종을 연결하는 철도는 공항철도가 유일한 만큼, 시민 이동편의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현재 요금체계는 개편돼야 한다"며 "국토부와 요금체계 개편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