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간 간담회 자리에서 '공항철도 수도권 통합환승요금제 영종지역 확대'와 '제3연륙교 건설'을 건의했다. 수많은 인천 현안 가운데 공항철도 영종지역 요금 인하와 제3연륙교 건설 문제 등 2건을 건의한 것이다.
그만큼 이들 현안을 중요하게 본다는 얘기다. 인천시 관계자는 "두 현안은 인천 발전과 시민들의 삶에 직결된 문제"라고 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반대에 막혀 있는 실정이다.
이들 현안은 '영종도' '국토교통부'와 관련이 있다. 공항철도 영종 구간이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 적용을 받으려면 국토부 의견이 중요하다. 영종과 청라 연결 도로인 제3연륙교 건설에 반대하고 있는 쪽도 국토부다.
인천 도심에서 영종도를 가려면 인천공항고속도로나 인천대교, 공항철도,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월미도에서 출발하는 여객선이 있지만, 이는 교통 수단보다 관광용에 가깝다.
인천공항고속도로와 인천대교, 여객선은 민간사업 특성상 요금이 비싸다. 대중교통 수단으로 공항철도와 버스가 있는데, 영종은 공항철도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 미적용 지역이다. 영종 주민들은 자가용을 몰아도, 공항철도를 타도 비싼 요금을 내는 셈이다. 먼 곳을 가는 것이 아니라, 인천(영종)에서 인천(도심)을 넘어갈 때도 그렇다.
인천시는 영종도와 청라국제도시 활성화, 이들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제3연륙교를 건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토부는 제3연륙교 개통 시 기존 민자도로(인천공항고속도로·인천대교)의 손실 보전 비용이 늘어난다며 반대하고 있다.
국토부가 대중교통인 공항철도 영종 구간 요금 인하에도 '반대', 영종·청라(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인 제3연륙교 건설에도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김정헌(중구2) 시의원은 "영종 지역 접근 수단은 모두 민자다. 세금은 내면서 공공의 혜택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또 "국토부가 대중교통 이용과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라며 "국토부는 영종 지역의 공항철도 요금을 내리고, 제3연륙교 건설에 협조해야 한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