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공공택지 줄이자 '도시개발'로 눈돌린다

고양 한류월드·의왕 문화밸리 등
건설사, 정부 물량조절 대응책으로
규모작아도 인프라 함께 구축 매력
  • 이성철 기자
  • 발행일 2016-09-28
과잉공급 우려 속에 물량 조절에 나선 정부의 한시적 공공택지 공급 중단 방침 이후 대체사업을 찾던 건설업계가 도시개발사업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도시개발구역 수는 380여개로 총 개발 면적만 1억3천80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올해 말까지 전국에서 분양될 아파트 14만4천여 가구 가운데 도시개발사업 지구 내 물량은 약 4만 가구로 파악되고 있다.

도시개발사업은 택지개발촉진법이나 재건축·재개발법(도시 및 주거 환경 정비법)이 아닌 도시개발법에 따라 도심지 인근에 10만㎡ 이상 규모로 아파트와 각종 기반시설을 함께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경기도가 추진하는 고양관광문화단지(한류월드)는 내년 말까지 주상복합 아파트·오피스텔 2천200가구와 함께 테마파크와 호텔, 공원, 상가 등이 잇따라 들어설 예정이다.

의왕시에서는 4천80가구 규모의 주거단지와 복합쇼핑몰, 지식·문화·의료시설 등을 갖춘 문화밸리를 조성하는 사업이 한창으로 효성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다. 용인 기흥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은 5천100가구의 아파트 주거타운 개발에 롯데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이 뛰어들었다.

이밖에 고양 일산3구역, 광주 태전7지구, 성남 판교 대장동, 양주역세권구역 등 도내 각 지자체마다 지정한 도시개발구역에서 사업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건설업계는 도시개발사업의 경우 택지지구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처음부터 공공시설과 도로, 교육, 생활편의시설 등을 계획적으로 추진하는 만큼 주택 신규 수요를 충분히 이끌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도시개발사업은 민간기업 주도하에 이뤄지는 만큼 빠른 인프라 구축 및 탄력적인 사업 진행이 특징이다"며 "당분간 공공택지 축소에 따른 반사이익을 노린 건설사들이 도시개발지구 분양에 대거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