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민' 경기도行 '턱도 없는' 임대주택

작년 순증가 유입인구 9만5천여명… 아파트 전셋값 상승 이어져
국민·영구·공공등 임대주택 공급 2만8천748가구 그쳐 '태부족'
  • 이성철 기자
  • 발행일 2016-10-17
최근 서울지역 전세가 급등에 따라 이른바 '전세난민'들의 경기도 내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도내 인구 유입의 증가는 곧바로 전세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7일 국토교통부와 국회 국토교통위 김현아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로 이사 온 사람은 64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경기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간 사람은 55만2천명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경기도 순증 유입인구는 9만5천여명에 달한다. 도내로 유입된 인구의 70% 이상은 전·월세 계약 만료, 내 집 마련 등 주택 문제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내 유입되는 인구 수 증가는 경기지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13년 9월 1억6천250만원에서 2014년 1억8천33만원, 2015년 2억1천395만원으로 해마다 10% 이상 증가했고 올들어 2억2천515만원까지 올랐다.

이처럼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는 것과 달리 임대주택 공급량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4년 도내 공급된 국민·영구·공공 등 임대주택은 2만4천674가구에 불과하다. 2015년에도 2만8천748가구로 한해 도내 유입 인구 대비 1/4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마저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90% 이상 추진하다보니 지역적으로 공급 물량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결국 도내 임대주택에 입주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지자체 차원에서 주택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김 의원은 "급속한 인구 유입으로 경기도 내 임대주택 부족은 지속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경기도 자체 건설임대 사업비율을 늘려 지역민들의 주거 안정에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