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버스기사 '피곤쌓인 핸들'

대부분 '하루 12시간 격일제' 근무환경 개선 시급
1대당 1.63명 전국 최저치·교통사고는 서울의 2배
운수업체 "1일 2교대 수용 불가'… 타협점 못찾아
  • 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6-11-08
2016110701000487600023031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최근 대형버스 사고로 인명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장시간 운전으로 인해 피로누적에 시달리는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의 근무환경개선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운전(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버스기사들의 1일 2교대 요구에 시내버스 업체는 재정부담을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7일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도내에서 운행중인 시내버스 및 운전기사는 1만590대 1만7천211명으로, 시내버스 1대당 1.63명의 기사가 근무중이다.

이는 버스 1대당 2.24명(7천427대 1만6천633명)과 2.15명(2천511대 5천416명)의 기사가 근무하는 서울과 부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함은 물론 전국 최저 수치다.

특히 경기도시내버스 운전기사는 하루 12시간 이상 장시간 운전을 한 뒤 다음날 휴무하는 격일제 근무가 절대 다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이틀 연속 30시간 이상을 운전한 뒤 하루를 쉬는 '복 격일제'도 2개 업체에 161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표 참조

지난해 도내 노선버스 기사의 월 근로시간은 서울(208시간)보다 25% 많은 259시간에 달했고 1천대 당 184건인 도내 교통사고 건수도 서울(96건)의 배나 많은 수치다.

'격일제 근무 폐지 및 1일 2교대 전면 시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시내버스 업체 측은 경영상 부담을 이유로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 지난 6월 30일까지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채 지금까지 임단협을 진행중인 시내버스 업체가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에 소속된 30개 업체 중 16개 업체에 이른다.

또한 매년 6월 말까지 20개 이상의 업체가 임단협을 체결하고, 늦어도 8월말까지 임단협을 완료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가 유독 늦어지고 있는 셈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관계자는 "최근 전세버스를 중심으로 대형사고가 발생하면서, 더 이상 '1일 2교대 시행'을 미룰 수 없다는 인식이 퍼졌다"면서 "기사뿐만 아니라 탑승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장시간·과로운전이 만연한 근무형태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