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가동된 지 20년이 넘은 승기하수처리장 부지 지하에 새로운 하수처리장을 건설할 전망이다. 인천시가 시설 노후화로 방류수질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데다 처리용량도 한계에 달한 승기하수처리장 재건설·현대화 사업을 현 부지 지하에 추진키로 가닥을 잡았다.
인천시 관계자는 17일 "승기하수처리장을 현재 위치에 지하화하는 대안보다 나은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랜 기간 많은 대안을 놓고 여러 관계자와 함께 검토를 거쳤다"며 "이달 안으로 최종 입장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7월까지 11차례에 걸쳐 주민, 환경단체, 관계기관 등이 참석하는 합동 간담회를 갖고 승기하수처리장 이전 부지를 검토했다.
▲현 부지 지하화 ▲송도 11공구 ▲남동 제1유수지 ▲남동 제2유수지 등이 이전 부지로 우선 검토됐다. 이후 인천환경공단 남항사업소와 동춘공원 등 민간에서 제안한 부지가 추가 검토됐다.
검토결과 남동 제1·2 유수지의 경우 토지매입비가 들지 않아 경제성은 높았지만 환경단체 등의 반발이 컸다. 현 부지 지하화 방안외에 다른 부지로 이전할 경우, 해당 지역 주민 반발과 공사비 증가 등이 예상됐다.
인천시는 처리장 이전부지를 새로 확보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고,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따졌을 때 현 위치 지하화가 가장 적합한 대안이라고 봤다.
3천200억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건설·현대화 사업비는 시 재정을 투입해 마련할지, 민간투자로 확보할지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인천시는 승기하수처리장 재건설·현대화사업 추진 과정에서 남동산단 유입 악성 폐수를 한 차례 더 걸러주는 시설을 추가로 구축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승기처리장은 지난 1994년 준공됐다. 남구와 연수구·남동구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하루 24만5천㎥ 처리할 수 있다. 승기하수처리장이 들어설 당시만 해도 입지조건이 바다와 인접한 인천의 최남단 육지였지만 이후 갯벌과 바다를 매립해 만든 송도국제도시가 인근에 들어서면서 현재는 시가지가 하수처리장을 둘러싼 모양새가 됐다.
인구가 늘면서 유입되는 하수량이 증가했고, 시설 낙후 등으로 악취문제가 끊이질 않고 있다. 승기하수처리장이 처리해 배출하는 방류수 수질도 대부분 환경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재건설·현대화 사업이 시급한 상태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