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비 아끼려 이름만 남긴 '2030하우스'

판교 근로자 주택공급 취지
국비 받으려 '따복방식' 변경
편의줄고 준공 늦어져 '퇴색'
  • 이경진 기자
  • 발행일 2016-11-29
남경필 도지사의 핵심사업인 '2030 하우스' 건립이 국비지원을 받기 위해 '따복 하우스'로 사업추진방식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기숙사내 편의시설들이 줄어들고, 사업지연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30하우스'는 성남 판교테크노밸리에 근무하는 청년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주거공간을 공급하는 사업이고, '따복하우스'는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통해 결혼을 유도하고 육아형 주택공급으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2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017년 말까지 660억원을 투입, 판교테크노밸리에 200실 규모(지하4층~지상7층)의 공공기숙사와 컨벤션&전시시설·G-NEXT센터 등이 합쳐진 복합건물을 건립키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용역을 추진했고, 사업타당성 조사를 행정자치부에 신청하는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하지만 도는 사업비 절감을 위해 각종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는 2030하우스(복합건물) 건립에서 따복하우스(공공임대주택) 건립으로 사업추진방식을 변경하기로 했다. 따복하우스로 사업추진을 변경할 경우 국비와 기금 등 20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당초 200실에서 100실이 늘어나지만 입주 대상이 판교테크노밸리 근로자와 창업자에서, 사회초년생·대학생·신혼부부로 변경된다. 특히 각종 편의시설이 없어짐에 따라 주거복지서비스 질도 낮아지고, 기본계획 수립과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 등을 이행하기 위해 준공도 2년 정도가 늦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당초 판교테크노밸리 근무자들을 위한 기숙사 공급목적이 퇴색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비 절감을 위해 사업추진방식을 변경했다"며 "판교 근무자들의 주거안정과 출·퇴근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