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 남동산단과 인천국제공항을 아우르는 미래형 항공산업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인천시의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이 정부지원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향후 5년간 120억원의 국비가 지원되는 등 총 585억원의 사업비가 이번 조성사업에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공모에서 '인천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을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공모사업 심사위원단에서 사업의 필요성, 이행 가능성, 사업계획 충실도 등을 평가해 이번 선정결과를 최종 발표하게 됐다"고 했다.
인천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은 송도국제도시 1만6천500여㎡ 부지에 대학캠퍼스와 기업·연구원 등이 들어설 공간을 조성해 남동산단 구조고도화와 항공소재 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동반성장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기계공학과·메카트로닉스학과 등이 들어서는 '산업단지 캠퍼스'와 남동산단 입주기업 등이 사용하게 될 기업연구실을 비롯해 창업보육실·기업지원센터 등을 갖춘 '기업연구관'이 함께 조성된다.
인천시와 인하대·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이 마련한 465억원과 이번 정부 공모사업 선정으로 확보한 국비 120억원 등 총 585억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NASA 연구소'와 'GE 크리에이티브 스쿨'의 인천 산학융합지구 유치도 추진된다.
인천시는 이번 '인천 산학융합지구'가 기계금속 산업을 중심으로 한 남동산단의 구조고도화를 촉진하고, 인천의 전략산업 중 하나인 항공정비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 산학융합지구를 운영할 (사)인천산학융합원 설립과 지원전담팀 구성, 관련 지원조례제정 등 후속 절차를 내년 3월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 산학융합지구는 항공분야 인재양성과 연구개발 지원, 일자리 창출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생각으로 조성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공모에서 인천과 함께 제주와 전남 나주 등을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