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롤모델'된 포천시 행복주택

시, 첫 입주 18가구 맞이… 저렴한 임대주택 사업
회계·발주 등 수행 전문성 문턱 넘을 노하우 전수
  • 최재훈 기자
  • 발행일 2017-01-20
포천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행복주택사업'의 모델로 자리 잡았다.

행복주택사업은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에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정부 정책사업으로 도심 주택가 월세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값싼 임대료 때문에 인기가 높아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시는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먼저 행복주택사업을 시작해 첫 입주자 18세대를 맞았다. 현재 행복주택사업을 구상하거나 추진 중인 지자체는 포천시를 꼭 한 번씩 들러 자문을 구하고 있다.

포천시가 행복주택사업의 모델로 떠오른 가장 큰 이유는 전문성을 꼽는다. 행복주택사업은 회계 업무나 공사발주, 건설관리 등 행정과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점이 많아 단일 지자체가 수행하기에는 다소 벅찬 사업이다. 사실 한국토지주택공사나 지방공사 등 경험 많고 전문성을 갖춘 기관이 맡아야 할 업무가 많다.

하지만 포천시는 모든 행정절차뿐 아니라 설계서부터 건설관리까지 기술 분야도 독자적으로 수행하며 전문성을 갖추게 됐다.

포천시에서 추진되는 행복주택사업은 일반형과 산업단지형 2종류로 나뉜다. 현재 입주를 마친 일반형(18세대)은 도심의 낡은 다세대주택을 깔끔하게 개보수하는 '도시재생사업'의 하나로 추진했다. 위치도 번화가(포천시 중앙로)에 자리하고 있어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젊은 직장인에게 안성맞춤인 보금자리다.

산업단지형은 포천 용정 일반산업단지에 342세대 규모로 지어지고 있다. 근로자에게 '내 집처럼 아늑한 숙소 제공'이 목적이다. 산업단지 안에 행복주택이 들어서는 것도 전국에서 처음이지만 기업이 직접 직원들에게 분양하는 방식도 특이하다. 행복주택사업의 창의적인 적용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 행복주택사업을 전담하는 부서가 본격 업무에 들어가 국토교통부와 긴밀한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며 "현재 많은 지자체 관계자들이 사업 노하우를 참고하고 있고 시 자체적으로 전문성 강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