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비수기와 6·19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경기, 부산, 세종을 중심으로 건설사들의 주택사업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투기과열지역 지정 등을 담은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에 따라 서울과 세종 지역은 찬서리를 맞을 전망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시장 전반의 동향을 나타내는 전국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8월 전국 전망치는 88.8로 지난달(73.8)보다 15.0p 상승했다고 2일 밝혔다.
HBSI는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소속 회원사 50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치로 공급자(건설사) 입장에서 주택사업 경기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공급시장이 지표로,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건설사의 비율이 높다는 뜻이다.
7월 전망치는 6월(121.9)보다 48.1p 하락한 73.8을 기록하며 7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으나 8월에는 다시 상승 반전했다.
주택산업연원측 "6·19 대책 발표로 7월 주택사업경기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인식이 컸지만, 서울·경기·부산·세종의 주택사업경기실적이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8월 주택사업경기는 7월보다 개선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고 분석했다.
지역별 8월 HBSI를 보면 그동안 주택시장의 분위기를 견인해온 서울(114.5), 세종(105.6), 부산(104.8) 등 주요 지역은 전달보다 20~30p씩 상승하며 전망치가 기준선(100)을 일제히 넘어섰다. 경기, 광주, 전북, 전남, 경남, 제주 지역은 7월 대비 8월의 HBSI 전망치가 10p 이상 상승했으나 인천과 충남은 HBSI 전망치가 하락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