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경기도의 버스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해 재정 확보 문제와 상위 업체 배 불리기 등의 각종 부작용을 우려하며 제동(9월 7일자 3면 보도)을 걸자, 도가 곧바로 해명에 나섰다.
장영근 도 교통국장은 7일 브리핑을 통해 "제도 도입 이후 상위 5개사가 75%의 수입을 가져간다는 지적은 차량 보유 대수에 따른 불가피한 부분이고, 기사 간 임금격차 발생 문제도 1일 2교대를 통해 차츰 줄여나갈 수 있는 문제"라며 "지적사항 중 상당 부분이 데이터를 잘못 해석해 오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제도 시행 초기에 임금인상 등으로 인해 재정지원금이 늘어나는 건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며 "과다 임금인상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하겠다"고 보완책을 제시했다.
앞서 도의회 이재준(민·고양2) 기획재정위원장은 최근 도정질문에서 준공영제 도입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을 지적한 데 이어, 전날에는 전체 의원들에게 준공영제 관련 협약 동의안의 부결을 요청하는 호소문까지 보낸 바 있다.
최근 청년 예산에 제동이 걸린 데 이어 남 지사의 또 다른 역점 사업인 버스준공영제마저 난관에 부딪히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도가 즉각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준공영제는 당초 15개 시군에서만 참여 의사를 보이며 '절반의 시작'으로 불안하게 출발했지만, 현재는 도내 광역버스 노선이 지나가는 24개 지역 중 성남과 고양 두 곳을 제외한 22개 지자체가 참여키로 한 상태다.
장 국장은 "제도 도입에 앞서 우려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제도 자체가 안고 있는 한계도 있다"며 "이를 충분히 검토해 좋은 제도를 안착시키겠다"고 밝혔다.
/황성규·강기정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