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수도권광역교통청'이 설립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기존 수도권교통본부가 "신설되는 교통청은 경기·인천·서울이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수도권교통본부는 지난 27일 행정사무감사와 내년 예산안 심의를 진행했다. 수도권광역교통청이 신설되면 기존 본부 역시 정리 작업에 돌입해야 하는 만큼 이에 대한 이야기가 행정사무감사 과정 등에서 주로 오갔다.
신설되는 교통청이 국토교통부 산하 조직으로 꾸려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본부에선 국토부 공무원들로만 채워지는 게 아닌 지금처럼 경기·인천·서울에서 각각 공무원을 파견하는 형태로 조직을 구성하는 등 공동 운영 체제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교통본부 조합의장을 맡고 있는 한길룡(바·파주4) 경기도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사업인데다 정부도 의지를 갖고 있어 교통청이 설립될 가능성이 높은데, 수도권 3개 시·도가 서로 면밀히 연계되는 게 중요한 만큼 지금 본부를 운영하는 것처럼 각 지자체가 공무원을 파견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교통청이 설립될 경우 본부가 해산 혹은 교통청과의 통·폐합 수순에 들어가게 되는 만큼, 본부는 그동안의 업무 내용을 정리한 백서 발간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본부 예산 246억원 중 4천만원이 백서 제작 비용으로 편성됐다. 이밖에 내년에 착공이 예정된 수원~구로간 BRT 건설사업 비용 226억원 등이 내년 예산안에 반영됐다.
한 의원은 "수도권 교통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도권교통본부가 설립됐지만 권한이 많지 않아 아쉬웠던 부분도 적지 않았다"며 "교통청이 단순한 국토부 산하 조직이 아닌, 3개 시·도와 잘 연계해 수도권 주민들의 삶의 문제와 직결되는 광역교통 문제의 중심 기관으로 운영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