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가 북인천복합단지(경인아라뱃길 준설토 투기장) 매각에 또 실패했다. 이에 인천항만공사는 공개경쟁입찰 방식을 포기하고 수의계약을 통해 매각을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를 통해 진행한 북인천복합단지 공개경쟁입찰에서 응찰자가 없었다고 5일 밝혔다. 북인천복합단지 매각이 유찰된 것은 이번이 일곱 번째다.
경인아라뱃길 접근 항로를 준설해 만든 북인천복합단지는 아라뱃길 서해 쪽 입구 남측에 있으며, 인천 서구 경서동 1016 등 2개 필지 82만4천㎡ 규모다. 항만공사는 해당 부지를 올해 안에 매각하기 위해 애초 2천711억원이었던 최저 입찰가를 2천255억원까지 낮췄지만, 주인을 찾지 못했다.
북인천복합단지는 인천항,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과 가깝고, 인천터미널 물류단지 등 대규모 물류시설을 배후에 두고 있다. 송도·영종·청라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토지 규모가 크고, 이를 매입하려면 적지 않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응찰자가 없었던 것으로 항만공사는 보고 있다. 수익이 큰 주거·상업시설로 땅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야 하는 것도 업체의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게 항만공사의 분석이다.
북인천복합단지 매각이 또 유찰됨에 따라 해당 토지를 매각해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부채감축계획'을 이행하려던 항만공사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항만공사의 부채 비율은 2013년 26.5%(5천592억 원)에서 지난해 33%(7천72억원)로 상승했다. 지난달 열린 항만공사 국정감사에서도 '북인천복합단지 매각 실패'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인천항만공사는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매각에 나설 방침이다. 수의계약으로 매각을 진행할 경우에는 200억원이 넘는 입찰보증금(매각 대금의 10%)을 사전에 내지 않아도 돼 매각 작업이 수월해질 것으로 항만공사는 보고 있다.
항만공사 관계자는 "수의계약으로 토지를 매입하겠다는 문의는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항만위원회와 자산매각심의위원회 등에서 동의를 받으면 올해 안에 토지 매각 공고를 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