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행정사무감사]안전미흡·운영난… 경전철 '난타'

  • 강기정·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7-11-14
스크린도어 없어 '인명 피해'
버스·택시 이용 불편 도마위
경과원 정규직 전환 2% 저조
남지사 '명품점포' 부실 지적


이용률이 저조하고 파산 사태까지 겪은 용인·의정부경전철이 13일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일제히 도마 위에 올랐다.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최재백(민·시흥3) 의원은 "용인경전철은 개통 이후 8건의 안전 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용인경전철에 스크린도어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이 제출받은 철도국 행감자료 등에 따르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용인경전철에선 급정거와 휠체어의 선로 추락 등 사고가 이어졌다.

의정부경전철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됐지만 이마저도 개통 이후 고장이 13차례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최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 도가 도민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영미(민·안산2) 의원은 경전철 역사가 버스·택시 정류장과 수백미터 떨어져있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창희(민·용인2) 의원과 김정영(자·의정부1) 의원도 각각 용인경전철 노선 연장과 의정부경전철 운영 문제를 지적하며 도의 관심을 촉구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감사로 2주간의 행감 일정을 시작한 경제과학기술위원회에선 남경필 도지사의 '명품점포' 조성 공약이 기존 진흥원의 사업과 거의 유사한데도 임기 말이 다된 지금까지도 그대로 중복 시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현삼(민·안산7) 의원은 "기존에 진흥원에서 유사한 정책을 추진해왔는데도 도에선 도지사의 공약사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제대로 검토도 하지 않은 채 사업을 추진했다. 이 때문에 남 지사의 임기가 8개월여 남은 지금도 '명품점포' 공약 이행률은 53%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원미정(민·안산8) 의원은 기존 경기도 조례에 따라 도 본청 및 산하기관이 기간제 근로자를 무기계약직·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는데도 진흥원이 전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원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과원은 2015년부터 올해 10월 현재까지 2년 10개월 동안 비정규직 97명 중 단 2명만 정규직으로 전환하는데 그쳤다.

조광주(민·성남3) 의원은 남 지사가 푸드트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인근 소상공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대로 분석하지 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시행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강기정·신지영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