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24일 오후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3연륙교' 건설사업 추진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제3연륙교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에서 영종도 중산동까지 4.66㎞에 이르는 왕복 6차로 교량으로 총사업비는 5천억원이다. 시는 2020년 착공, 2024년 준공에 이어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
'개통후 영종대교등 통행량
70% 이하땐 인천시가 보전'
市, 국토부 조건 받아 들여
내년 실시설계·2025년 완공인천대교, 영종대교에 이어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육지를 잇는 세 번째(제3연륙교) 교량이 2020년 착공돼 2025년 개통된다.
인천시는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거쳐 지난 11년간 진척이 없었던 제3연륙교 건설 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일지 참조
시는 내년부터 제3연륙교 공사를 위한 실시설계를 시작해 2019년 완료하고 2020년부터 착공에 들어가 2025년 개통한다는 방침이다.
제3연륙교는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에서 영종도까지 4.66㎞에 왕복 6차로 규모로 지어지며 총사업비는 5천억원이다. 도로 건설비 5천억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006년 청라와 영종택지개발 사업을 진행하며 조성 원가에 반영해 이미 확보돼 있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가 개통되면 시민들의 교통 편의성은 물론 영종경제자유구역과 영종도 미개발지역 투자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천 경제 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란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사업비가 있는데도 10년 넘게 진척이 없었던 것은 기존 영종대교와 인천대교의 손실보전금을 누가 낼 것인지를 놓고 인천시와 국토부 간 견해차가 컸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2003년 인천대교를 짓는 민간 사업자와 협의를 벌이면서 영종·인천대교의 손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쟁 다리를 건설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제3연륙교 건설에 따른 영종·인천대교의 손실보전금을 인천시가 모두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인천시는 2003년 당시 협약 주체가 국토부였던 만큼 국토부도 손실금을 분담해야 한다고 맞서 왔다.
11년간 지루한 공방 끝에 국토부는 제3연륙교가 2025년 개통하고 영종대교와 인천대교의 2025년 통행량이 2024년 통행량의 70% 이하일 땐, 인천시가 70% 이하의 교통량 부족분에 대해 손실보전금을 모두 지급해야 한다는 조건을 최근 내걸었다. 인천시가 국토부의 이런 조건을 모두 수용키로 결정하면서 극적인 합의가 이뤄졌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 개통 후 발생하는 손실보전금 규모를 5천900억원(영종대교 4천100억원, 인천대교 1천800억원) 수준으로 추정했고, 이는 통행요금으로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그동안 제3연륙교 건설 소식을 애타게 기다려온 청라·영종경제자유구역 주민을 비롯해 300만 인천시민에게 감사드린다"며 "제3연륙교가 계획대로 2025년 개통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