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혁신 '광역교통청' 세운다

내년 하반기 출범 목표 연내 법령 정비
경기·인천·서울 광역버스 등 갈등 해소
정부, 출퇴근 시간 45분이내 단축 계획
  • 김순기·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7-11-30
수도권 교통 체계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이하 광역교통청)이 내년 출범한다. 광역교통청 출범에 따라 입석 승객과 광역도로 건설 등 경기·인천·서울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이 해결될 전망이다. 정부는 특히 중장기적으로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45분 이내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29일 국토교통부·더불어민주당 윤관석(인천남동을) 의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18년 하반기 광역교통청을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내년 초 국토교통부에 '광역교통청 설립 준비단'을 설치하기로 했다.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은 경기·인천 지역에서 서울을 오가는 대중교통 분야다. 지금까지 인천시와 경기도는 입석 증가에 따른 안전 문제 때문에 서울로 통행하는 광역버스를 확대할 것을 요구했지만, 서울시 측은 도심 교통 혼잡과 대기 질의 악화 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반대해왔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최근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시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강행하면서 인접 지방정부와 큰 갈등을 빚었다. 수도권의 교통 문제를 총괄할 광역교통청이 출범하면 이 같은 문제에 대한 '교통정리'가 확실히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 구간 전용차선 확보가 어려워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수도권 광역 간선급행버스(BRT)의 확대도 가속화되고, 신규 건설이 지지부진해 경기·인천 지역 승객들의 불편을 초래했던 서울 외곽의 광역 환승센터도 확충될 것으로 보인다.

지방정부 간 예산 부담에 대한 이견이 발생해 온 광역도로·광역철도 등 대규모 투자 사업 역시 더 원활하게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관석 의원은 "경기·인천은 서울로 진입하는 광역버스의 증차·신설을 요구하고 있으나, 서울시의 반대로 시민 불편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이를 해소할 길이 열려 매우 다행"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국회에서는 국회의원·정부 관계자·경기도 이재율 행정1부지사·인천광역시 전성수 행정부시장, 서울특별시 고홍석 도시교통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가 열려 광역교통청 설립과 관련, 사전에 의견을 조율했다.

/김순기·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