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12월 1일 자로 일반도로화 되면서 통행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인천시의회 박승희, 김종인, 김진규, 신은호, 신영은, 손철운 의원은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지난 21일 인천 서구의회 의원들도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인천시의원들은 결의안에서 "1968년 개통된 경인고속도로는 상습 정체로 인한 통행 속도 저하 등으로 오래전부터 고속도로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라며 "이와 함께 일반도로로 전환되는 구간 외에 민간 자본으로 추진되는 지하화 구간(서인천IC~신월IC)으로 인해 시민들의 요금부담과 교통 체증이 가중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인고속도로는 이미 건설비의 250% 이상인 3천500억원을 초과한 통행료를 징수했다"며 "통행료 폐지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경인고속도로 통행료의 총수익은 개통 이후 2016년 말까지 6천580억원 규모에 달한다. 정부가 투입한 고속도로 건설투자비 2천760억원의 2배를 훌쩍 넘어서는 규모다.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 전환으로 정부가 관리하는 도로 구간도 훨씬 짧아진다. 인천시민들의 통행료 폐지 주장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인천시의회는 오는 15일 결의안을 채택한 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국무총리, 기획재정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