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방공항 활성화 정책 탓에 인천국제공항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 추진이 더뎌 국내 항공산업 경쟁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12월 20일자 3면 보도) 관련, 인천 지역사회에서 인천공항에 정부지원 MRO특화단지를 조성하라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경실련은 인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26일 논평을 내고, "인천국제공항에 '민수분야 중심의 항공기 정비서비스 부문'의 정부지원 MRO 특화단지를 지정해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정부지원 MRO사업 대상자로 KAI(한국항공우주산업(주)·경남 사천)를 선정했다.
인천경실련은 "KAI 선정은 군수분야 항공제조·정비사업이 특화된 것"이라며 "하지만 MRO사업은 제조가 아닌 서비스산업으로, 수요가 많은 곳에서 제공돼야 하며 균형발전보다 '항공기 운항안전'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경실련은 "인천공항 출발 편 결항률이 급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번 사업자 선정의 한계를 인식하고 역할분담 차원에서 인천국제공항에 MRO 특화단지 지정과 추가 사업자 선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경실련은 "정부와 정치권은 인천시, 국토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논의기구를 구성해 '인천공항의 지속 가능한 운항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며 "이를 관철하기 위해 앞으로 인천지역 경제계와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해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