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연륙교 용역비 편성, 시기상조 논란

  • 김종호 기자
  • 발행일 2018-01-18
당초 2024년 이후 건설 예정
타당성조사결과 미발표 불구
4→2차로 축소·사업비 감액
"경제 아닌 정치 논리" 목청

최근 정부가 평택항 서 부두~충남 당진 신평면을 연결하는 '평택항 연륙교' 설계비 10억원을 편성하자, '경제적 측면이 아닌 정치적 논리에 따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7일 평택시민과 시민단체들은 '평택항 연륙교 건설은 시기 상조'라며 정부의 연륙교 용역비 편성을 곱지 않게 바라보고 있다.

당초 평택항 연륙교 건설은 전국 항만 기본계획에 따라 평택항 내항이 건설되고 물동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2024년 이후에나 건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4월 평택항 신생매립지 경계분쟁에서 내항 매립지 대부분이 평택시 관할로 결정되자 충청남도와 당진지역에서 연륙교 조기 건설을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다.

연륙교 건설은 사업비 2천300억원을 투입해 왕복 4차로(편도 2차로) 3.1㎞를 건설키로 했지만, 왕복 2차로(편도 1차로)로 축소하고 사업비도 1천500억여원으로 감액해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연륙교 건설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는 용역기관의 최종 검토 결과(비용 편익 조사결과 등)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연륙교 실시 설계비 26억원 가운데 10억원을 편성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항만 건설 관계자들 사이에선 "연륙교 건설 비용을 줄여 비용 편익을 맞추기 위한 졸속"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나오고 있다.

또한 "왕복 2차로의 연륙교가 건설될 경우 항만 배후단지 물동량 운반처리 및 일반 차량이 함께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고 발생 시 교통마비 등 엄청난 혼란이 예상돼 실효성 논란이 일 수 있다"고 밝혔다.

시민 및 시민사회단체들은 "연륙교 건설은 경계분쟁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 당진시와 평택시 양 지자체의 갈등과 대립만 격화시킬 뿐 실효성이 없다"며 "지역정치권과 평택시가 적극적으로 이를 막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편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측은 "설계비는 비용편익 충족을 조건부로 편성된 것으로 교통량과 건설 비용을 검토하는 절차가 남아 있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