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에 발묶인 '따복하우스' 통과될까

경기도의회 기재위 신규사업 점검토론
'주거복지' 내달 동의 가능성 무게
표심 얽힌 '광명주거단지'도 쏠린눈
  • 강기정 기자
  • 발행일 2018-02-27
지방선거와 맞물려 경기도시공사의 주요 사업이 표류할 위기(2월19일자 3면 보도)에 놓인 가운데 '경기도형 행복주택' 따복하우스가 우선 조성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시공사 대형 사업의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지난 23일 내부 토론을 통해 도시공사 신규 사업을 점검했다.

도의회 동의를 기다리고 있는 평택 고덕·평택 BIX·광주역 따복하우스와 판교제2테크노밸리(제2판교) 글로벌비즈센터, 광명주거단지 조성 등 5개 사업은 물론, 아직 도의회에 동의여부를 묻지 않은 광주역세권 주택 사업,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남양주 다산신도시 공공임대리츠 2호 출자 등 3개 사업에 대해서도 함께 살폈다.

광주역세권 주택사업은 3천693억원을 들여 광주역세권 일대에 1천42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지난 2016년 경기북부판 판교테크노밸리를 만들겠다는 취지로 조성을 결정한 일산테크노밸리는 7천121억원을 들여 대화동 일대 79만여㎡에 지어진다.

또 남양주 다산신도시에 공공임대리츠를 첫 적용한 도시공사는 163억원을 출자해 2호 리츠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다음 달 기획재정위에서 이미 제출된 8개 사업부터 동의 여부를 심의할 예정인데, 우선 주거복지를 앞세운 따복하우스 사업이 동의를 받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기획재정위 의원들은 따복하우스 3개 사업에 대해 집중적으로 물으며 "사업의 특성상 재무적 타당성에만 얽매일 게 아니라, 보다 정책적 관점에서 접근해 전향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광명주거단지, 제2판교 글로벌비즈센터 조성 사업도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과 얽혀있는 대형 사업이라는 점에서 도의회 동의를 얻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획재정위 관계자는 "기획재정위 내부에선 도시공사가 민선 6기 임기 막판에 다수의 신규 사업을 한 번에 추진하려 한다는 지적이 여전하지만 종합적으로 검토해 동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