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는 동결됐지만 가계 대출 금리는 여전히 오르고 있어 대출 상환 능력이 적은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가계 대출 금리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월 예금은행 대출 금리는 3.71%로 전월대비 0.01%p 상승해 지난 2014년 9월(3.8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함께 오르게 된다"며 "최근 미국 금리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기대치가 높아져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장기 금리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6개월간 시중은행의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전국은행연합회 가계대출 금리 은행별 비교 공시 자료에 따르면 시중 주요 7개 은행(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의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금리는 6개월 동안 0.19∼0.39%p 증가했다.
은행의 변동금리 주담대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1.73%로 5개월 연속 상승했다.
금리가 오르면서 내 집 마련이나 사업을 위해 대출을 받아야 하는 서민들의 부담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직장인 박모(34)씨는 "고양시에 작은 아파트를 분양받고 대출을 알아보고 있는데 금리가 계속 오른다는 이야기에 걱정이 앞선다"며 "서민 대출 상품인 보금자리론도 1일부터 0.01%p 오른다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식당을 운영 중인 김모(47) 씨도 "앞으로도 계속 금리가 올라가면 그만큼 가계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며 "금리 인상이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걱정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최근 2018년도 검사업무 운영방침을 발표하면서 시중은행의 가산 금리 인상 체계 합리성에 대해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금리 산출 관련 의사 결정과 내부통제체계, 내규 등에 따른 목표이익률 등 금리 구성요소 조정에 합리성 여부를 점검한다고 설명했다.
/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