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 접경지 12곳 '관문도시로'

서울시 보존위주 정책서 변경
문화체육 등 재생사업 진행
기피시설 갈등 해소 기대감
  • 김태성 기자
  • 발행일 2018-03-23
서울시가 경기도와 맞닿아 있는 서울의 변두리 지역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세움에 따라 경기·서울 간 접경지역인 도내 지자체들의 동반 개발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해당 지역들은 서울의 기피시설이 집중돼 그동안 경기도와 갈등을 빚어온 사례가 많아 갈등 문제 해결의 시발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은 경기도와의 12개 접경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세워 재생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50년간 이어온 '보존' 위주의 경기-서울 접경지역 관리 정책을 '보존+개발'의 투 트랙 방식으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선정한 12개 접경지역은 도봉·구파발·수색·개화·신정·온수·석수·사당·양재·수서·강일·신내다. 이곳과 붙어 있는 도내 지자체는 고양·의정부·남양주·하남·성남·과천·광명·시흥·부천·김포 등이다.

이에 해당하는 경기와 서울 지역들은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됐다. 그동안 서울시의 보존 정책에 따라 도내 지역도 피해를 봤다. 접경지역에 서울의 폐기물 시설 등 기피시설이 집중되면서 경기도와 갈등을 빚었던 것도 사실이다.

실제 고양시의 경우 시와 인접한 지역에 서울시가 대규모 재활용 시설 건립 등을 추진하며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접경지역 개발이 이같은 갈등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감도 생기고 있다.

서울시는 이 지역들을 문화체육 및 물류, 청년 창업 시설 등으로 꾸민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서울시의 낙후 지역 개발은 이와 접해 있는 도내 지자체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관련 영향을 살피며, 도 차원의 접경지역 개발 계획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