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43호선의 심각한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포천시가 건설한 우회도로가 자작동 일대에 주둔 중인 6군단 사령부에 가로막혀 일부 구간의 공사가 중지돼 수년간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
최근 부대 통과 구간을 지하화하는 조건으로 추가 공사를 진행키로 했지만 이마저도 군의 늦은 협의와 지상 통과 거부로, 수백억원의 시 예산이 필요해 정부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17일 포천시에 따르면 국도 43호선의 고질적인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소흘읍과 신읍동을 연결하는 우회도로 건설사업을 진행, 지난 2010년 소흘읍~자작동 간 약 7㎞구간에 대한 신규 우회도로를 개통했다.
국도43호선 우회도로는 애초 소흘읍에서 시작돼 자작동을 거쳐 포천시청이 위치한 신읍동까지 연결할 계획이었지만 자작동과 신읍동 구간 가운데에 6군단 사령부가 주둔, 군 협의 등을 이유로 해당 구간에 대한 공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소흘~자작 구간의 우회도로만 개통돼 해당 주민들은 10년 가까이 교통 정체에 시달리고 있는 국도43호선 일부를 이용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다행히 시가 최근 자작~신읍 구간 우회도로 건설을 위해 6군단 사령부를 통과하는 구간의 지하화를 군과 협의하면서 우회도로 건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그러나 협의가 10여년째 진행되면서 물가상승으로 인해 보상비가 늘어난 데다 지하차도 공사를 위한 공사비도 추가 지출할 수밖에 없어 애초 공사비 350여억원은 현재 470여억원으로 늘어난 상태다.
사업 지연과 계획변경으로 시는 정부의 미군공여구역지원사업에 따라 확보했던 국비도 반납해 470여억원에 달하는 공사비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시가 도시개발을 위해 최근 6군단 사령부 내 시유지의 재계약 불가방침(4월 6일 자 8면 보도)을 밝힌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시 관계자는 "6군단 사령부의 정문이 조금만 더 부대 안쪽에 위치해 있었더라도 우회도로 공사는 진작에 완료됐을 것"이라며 "6군단 사령부뿐만 아니라 시 전역에 걸친 여러 군 시설이 도시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6군단 관계자는 "일선 부대 차원에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포천/정재훈기자 jjh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