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자전거도로 30㎞때문에 '미완성' 딱지

용인·이천 등 끊긴 도내 광역 순환망 동남축 구간 연결 사업
내부 이견 탓 예산 확보 못해… 도 "해당 시·군과 협약 진행"
  • 김연태·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8-06-26
2018062501001928100095951
자전거는 달리고 싶다-경기도 광역 순환 자전거 도로망이 예산투입 무산으로 용인·이천·여주에 이르는 불과 37.1㎞의 동남축 구간을 연결하지 못하면서 미완성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용인 삼가로 자전거도로로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된 용인시 금학천 자전거도로.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경기도를 순환하는 수천㎞의 광역 순환 자전거 도로망이 불과 30여㎞의 구간을 잇지 못해 미완성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도에 따르면 수원·안양~서울 서부를 잇는 안양천자전거길, 구리~김포를 잇는 한강자전거길, 오산~의정부를 잇는 한강자전거길, 양주와 의정부시를 경유하는 북부순환자전거길 등이 경기도에 조성돼 있다.

이곳 자전거길은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국가자전거도로건설 사업에 따라 만들어진 구간으로 당시 남한강·북한강 자전거길 등 광역 자전거 도로망이 도 전역에 걸쳐 들어섰다.

경기도의 경우, 서울을 통과하는 십자(十)모양의 광역 도로망을 비롯해 도를 원형으로 순환하는 환형 도로망도 건설된 상태다.

이 같은 광역 도로망이 용인·이천·여주에 이르는 불과 37.1㎞의 동남축 구간을 연결하지 못하면서 경기도를 자전거로 한 바퀴 도는 일도 불가능한 상태다. → 그래픽 참조

2018062501001928100095952

애초 30여㎞의 도로만 이으면 되는 손쉬운 일이라 경기도도 연결 사업을 추진했었다.

지난 2016년 하반기 '경기도 자전거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하고, 지난해 동남축 구간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운 경기도는 결국 올해 예산안에 관련 예산을 담아내지 못하면서 연결 사업을 백지화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실무 부서와 예산 부서의 논의과정에서 지역의 자전거 도로 건설은 도비가 아니라 자자체의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미완성 구간을 연결하기 위해선 5개년에 걸쳐 60억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되며, 2018년에는 16억원 정도가 투입돼야 할 것으로 추산됐다.

예산 투입은 무산됐지만, 올 상반기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하천도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5㎞ 이상의 자전거도로를 추가로 동남축 구간에 건설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경기도가 30㎞가량의 도로만 조성하면 광역 자전거 도로망은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용역 과정에서 현황 조사를 해보니 이미 조성된 구간들이 많았다. 짧은 구간만 도비를 투입하면 광역 순환망을 완성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 추진됐던 사업"이라면서 "내부 이견으로 사업은 무산됐지만, 도비를 투입하는 대신 해당 시군과의 협약을 진행해 광역 순환망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연태·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