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속도냐, 임대료 상승이냐… 신항 배후단지 1-2구역 민간개발 갈등

  • 김주엽 기자
  • 발행일 2018-07-24
인천항만업계, 해수부방식 반발
"수익성 위주 부동산 사업 변질"
해수부 "시장따라 적정값 산정"


해양수산부가 인천 신항 배후단지 2단계 사업을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하자, 임대료 상승을 우려한 인천항만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현대산업개발 등 4개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인천 신항 배후단지 1-2구역(93만4천㎡) 조성사업 시행을 위한 사업제안서를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해수부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컨소시엄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의뢰했다. KMI가 컨소시엄이 제안한 사업이 추진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해수부는 제3자 공모 절차 등을 거쳐 11월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인천항만업계는 "민간 사업자가 배후단지를 개발하면 임대료가 상승해 인천 신항 활성화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해수부의 배후단지 민간개발 움직임에 반발하고 있다.

배후단지에는 화물보관, 집배송, 조립, 가공 관련 시설은 물론 업무·상업시설 등이 들어선다.

신항 경쟁력 향상과 항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선 이들 분야의 다양한 업체가 입주해야 하는 만큼, 정부 재정으로 배후단지를 개발해 저렴한 가격에 부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항만업계의 주장이다.

앞서 신항 배후단지 1-1구역에 조성할 계획인 냉동·냉장물류단지(LNG 냉열 에너지 활용 콜드체인 클러스터)도 1㎡당 2천500원이 넘는 비싼 임대료 때문에 매각이 불발된 바 있다.

인천항만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 재정으로 추진된 인천항의 다른 배후단지도 부산항 등 다른 항만보다 3~4배 비싸다"며 "민간 개발이 진행되면 애초 목적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의 부동산 개발로 변질할 경우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수부는 정부 주도로 배후단지를 조성하려면 예산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야 해 단지 공급이 늦어질 수 있다며,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민간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임대가 아닌 민간 분양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조·물류기업을 유치함으로써 고용도 창출하고 항만구역의 산업 집적도도 높일 수 있다"며 "임대료는 시장 경제 논리에 따라 적정 가격이 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