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3개 노선 추진 본격화 편승
소외지역 중심 촉발 제기 '눈길'
김포~마곡~성남~광주~이천까지
"인구 증가세·광역교통망 절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과 A노선 추진이 본격화(12월 12일자 1면 보도)된 가운데, 한강 이남으로 김포에서 이천까지를 잇는 'D노선'을 신설해달라는 국민청원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12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GTX-D 노선 신설 요청'이라는 청원이 등장해 이날 오후 6시 기준 1천374명의 동의를 얻었다.
청원인은 "GTX 3개 노선이 추진 중에 있다. 각 노선을 보면 한강 아래쪽을 가로로 잇는 노선만 없다"면서 "(한강 이남 노선은)너무도 필요한 노선이다. 이와 비슷한 노선인 9호선은 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늘 지옥철이라고 불린다. 그만큼 한강 이남은 수요가 폭발적"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김포-이천 연결 GTX-D노선을 요청한다. 김포를 출발해 마곡업무단지와 여의도를 거쳐 양재, 성남, 광주, 이천까지 연결하는 노선"이라며 "김포의 인구는 꾸준히 늘어 전국 최고 수준의 증가추세이며, 마곡업무단지는 그 규모가 상당하다. 광주와 이천도 광역교통망이 절실한 도시"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청원은 지난 11일 국토교통부가 GTX-C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사실을 밝히면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수원부터 양주 덕정까지 경기 남북부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GTX-C노선은 완공되면, 양주-수원 74.2㎞ 구간을 최소 45분이면 오갈 수 있을 정도로 교통이 개선된다.
여기에 국토부는 파주 운정과 화성 동탄을 잇는 GTX-A노선 사업을 정부가 위험을 40% 분담하는 '위험분담형 수익형 사업(BTO-rs)'에서 정부가 운영 시 위험을 부담하지 않는 'BTO 방식'으로 전환해 연내 착공하겠다고 밝혔다.
게다가 이날 GTX-A노선의 사업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에서 의결되면서 사업도 속도감을 더해가고 있다.
GTX-A노선이 연내 공사에 돌입하고, GTX-C노선은 민자적격성심사 등을 거쳐 이르면 2021년 착공·2025년 완공될 전망이다.
GTX 사업의 마지막 퍼즐인 GTX-B노선의 경우, 노선이 경유하는 지역의 기초단체장을 중심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는 지역이다. 정부는 이르면 연내에 GTX-B노선의 예타 면제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처럼 GTX 3개 노선이 각각 추진되거나 추진 예정이면서 GTX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D노선' 신설 요구가 제기되는 것이다. 실제로 GTX 노선에서 소외된 김포시의 부동산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새로운 노선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