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책 약효' 전국 분양물량 5년 만에 최저

  • 김종찬 기자
  • 발행일 2018-12-14
道 '소나기 분양'에도 올 31만 가구
양극화 현상, 상승세 영향 못 줘
청약개편 후 성남·판교등 촉각


경기도가 전국 아파트 신규 분양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의 약효를 뛰어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날까지 분양을 끝낸 단지는 총 28만4천559가구에 달한다. 경기도의 연말 막판 '소나기 분양'을 합쳐도 31만 가구 안팎이 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분양시장의 극심한 양극화 현상도 더는 연말 분양시장의 상승세에 큰 힘을 보태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약률과 계약률이 양호한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분양을 미루는 분위기인데 지난 10∼11월 부산·거제 등지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계약은 물론 청약 단계부터 미달 사태가 발생했다.

수도권도 물량이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청약제도 개편 이후 경기지역에는 성남·판교·위례 등지에서 잇따라 막판 분양이 시작되지만 정부 규제·청약제도 개편에 맞물린 실수요자들의 눈치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지역의 새 분양 물량의 경우 규제지역으로 묶여 있다 보니 추첨제 물량도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되며, 1주택자는 입주 후 6개월 이내에 살던 집을 팔겠다는 약정을 해야 청약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추첨제 물량 가운데 75%는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하고 나머지 25%에 대해서만 1주택자에게 신청자격이 주어지는 데 이들 아파트는 중소형은 100% 가점제로, 중대형은 50% 가점제, 50%는 추첨제로 분양한다.

이 때문에 건설사들은 이들 지역의 청약결과에 관심을 끌고 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내년 청약시장이 불투명해 가급적 올해 안에 할 수 있는 것들은 털고 가려고 하지만 청약제도 개편이 시장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끼칠지 장담하지 못하겠다"면서 "경기도 신규 분양 물량의 청약 결과를 지켜본 뒤 분양일정을 조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