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형 일자리정책 설문 75% '동의'
시범운영지역 이용자 92.8% "만족" |
| /아이클릭아트 |
'이재명표' 공공형 일자리 창출 모델의 대표격인 행복마을관리소에 대한 경기도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7일 발표한 '시민서비스 기반 공익적 일자리 창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달 도민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마을관리소 정책 인식 조사에서 전체 75.1%가 해당 정책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반대는 4.3%였다.
동의 이유로는 주민밀착형 생활서비스 공급(46%)과 공공부문의 공익적 일자리(29%)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이유로는 지방정부의 재정적 부담(34.8%),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의 비효율성(29.2%) 등이 거론됐다.
행복마을관리소는 현재 도내 5개 지역에서 시범운영되고 있는데, 이 서비스를 실제 이용한 주민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연구원은 지난 달 14일부터 18일까지 행복마을관리소 서비스를 이용한 8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는데, 이용자 92.8%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91.7%는 다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다른 주민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경기연구원은 이같은 조사 결과를 제시하면서 행복마을관리소처럼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공익적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행복마을관리소 활성화를 위해 적합한 평가체계 구축, 시·군의 자율성 보장, 지역 수요 반영,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안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