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최근 7년간 사업지구 내에 토지보상금으로 15조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개인이 받은 최고 보상금은 약 200억원, 법인이 받은 최고 보상금은 약 2천880억원에 달했다.
1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LH가 제출한 토지보상금 지급 현황을 보면 지난 2013년부터 올해 9월까지 전국 287개 LH 사업지구에서 지급한 토지보상금이 약 15조4천59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3년이 3조1천47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2014년 1조7천112억원으로 줄어든 뒤 2015년 2조5천886억원, 2016년 2조7천688억원, 2017년 1조3천882억원, 2018년 2조5천386억원, 올해 9월 현재 1조3천166억원 가량이 각각 지급됐다.
사업지구 단위로 가장 많은 보상금이 나간 곳은 하남 감일지구로 약 1조1천683억원이 풀렸다. 이어 파주 운정3지구 1조511억원, 고양 덕은지구 1조25억5천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287개 사업지에서 개인·법인을 통틀어 가장 많은 보상금을 받은 주체는 한국도로공사로, 판교창조경제밸리지구 1단계 사업지구에서 약 2천880억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공사는 성남 시흥·금토동 일원의 보유 토지가 사업부지로 편입됐다. 또 개인 최고 보상금은 서울 양원지구에 한 개인으로, 약 200억6천만원을 받았다.
김상훈 의원은 "내년부터 본격화될 3기 신도시 등지에서 60조원가량의 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추정된다"며 "보상금으로 받은 현금이 다시 부동산으로 유입돼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대토지급 방식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