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에도 '라돈' 검출된 마감재 계속 사용한 포스코건설

  • 김명래 기자
  • 입력 2019-10-21 10:55:37
2019102102000007400068031.jpg
지난 9월 3일 이정미 정의당 의원과 세종시 한 아파트 입주자예정협의회 의원들이 포스코건설 공동주택 라돈검출 및 부실시공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모습. /연합뉴스

마감재에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한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던 포스코건설이 동일한 마감재를 계속해서 사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라돈은, 집 주변에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성 물질로 WHO(세계보건기구)와 EPA(환경보호국)가 1급 발암물질으로 지정한 바 있다.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정미 정의당 의원실이 포스코건설 측으로부터 받은 시공 아파트 마감재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부터 현재까지(준공기준) 전국에 총 69개 단지를 시공하면서 62단지에 라돈검출로 분쟁이 있었던 마감재를 지속해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의 90% 단지에 해당한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998년부터 2017년 말까지 R&D센터를 운영하면서 센터 내 '실내공기 질 분석실'까지 뒀다.

2009년부터는 환경보고서인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 2016년부터 2017년에 발간한 해당 보고서에는 실내 공기질 관리기법 적용과 입주자의 건강과 쾌적한 실내환경 구현을 위해 '친환경 자재'를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 최다 LEED(미국 친환경 건물 인증제조)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정미 의원은 "포스코건설이 정말 필요한 것은 친환경 인증과 친환경 설계 포장으로 막대한 이익을 누리면서 입주민들과 분쟁을 야기하는 것이 아닌 입주민의 건강과 안정을 위해 라돈 마감재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는 것"이라고 라돈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