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입주한 신축아파트 전세가율 2013년 이후 최저

  • 박상일 기자
  • 입력 2019-10-30 17:29:23
2019103002000014300106271.jpg
입주 1년 차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 그래프./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전국적으로 입주 1년 이내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4년 동안 연평균 38만 가구의 신규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면서 전셋값이 약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전국 입주 1년 차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62.58%로, 지난 2016년 최고점 74.09% 대비 11.5%p 낮아졌다.

이 기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62.40%를, 서울은 지난 2015년 77.63% 최고점 대비 20.79%p나 떨어진 56.84%를 기록했다.

지방 5대 광역시 역시 지난 2013년부터 2016년 4년간 70%대 초반으로 높은 전세가율을 유지하다가 올해는 62.81%까지 떨어졌다.

평균보다 낮은 곳은 경북(61.3%), 인천(60.6%), 광주(59.7%), 경남(57.6%), 울산(57.4%), 세종(37.1%) 순으로 나타났다.

KB부동산 리브온 관계자는 "준공 후 첫 입주를 시작할 때 아파트 전세가율은 주변 평균보다 낮게 형성되던 것이 일반적이었다"며 "입주가 가까워지면서 준공 전에 잔금을 치루기 위한 집주인들이 전셋값을 낮춰서 매물로 내놓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19103002000014300106272.jpg
2019년 입주한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KB부동산 리브온 제공

지난 9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고덕그라시움 전용 84㎡ 매매 일반평균가는 13억2천500만원이며, 전셋값은 매매
가격의 40% 수준인 5억4천만원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과 전셋값 격차가 7억8천500만원이다.

지난 2017년 입주한 고덕동 래미안힐스테이트 전용 84㎡의 입주 당시 전세가율은 76%를 나타냈다. 이 기간 전용 84㎡ 매매 일반평균가는 8억6천500만원이며, 전셋값은 6억6천만원으로 2억500만원 차이났다.

최근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했지만, 전셋값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있다고 KB부동산 리브온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 "풍부한 유동자금과 저금리 영향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수요가 이어지면서 새 아파트 선호현상과 매물부족으로 전셋값과 매매가격 격차가 벌어져 낮은 전세가율이 한동안 유지될 것"이라며 "다만,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높은 가격부담으로 실수요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