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림산업 직원들이 BIM 설계에 필요한 측량자료 촬영하고 있다./대림산업 제공 |
대림산업이 건설업계 최초로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건설정보모델링(BMI) 기술을 모든 공동주택의 기획·설계단계부터 적용한다.
22일 대림사업은 착공 전에 설계도면의 오차를 없애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하자와 공사 기간 지역까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이라며 올해부터 모든 공동주택의 기획 설계단계부터 BIM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BMI는 설계·자재·시공 등 건축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입체적인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한 디지털 기술이다.
그간 호텔이나 병원, 초고층 건물 등 개별적인 프로젝트에 선별적으로 이용해왔다.
또 해외와 달리 초기 설계도면 작성 이후에 BIM 기술을 뒤늦게 적용했다. 설계도면 작성이 대부분 외주업체에서 진행되는데, BIM을 사용하는 설계사가 많지 않아서다.
하지만 대림은 올해부터 아파트와 오피스텔 같은 모든 공동주택의 기획 및 설계 단계부터 BIM을 적용한다.
초기 단계부터 BIM을 적용하면 설계도면의 작성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다 원가절감, 공기단축, 리스크 제거를 반영해 착공 전에 설계도면의 오차를 없애 실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하자, 공기지연까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대림산업 측은 기대하고 있다.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