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화성 남양뉴타운 위치도./화성도시공사 제공 |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으로 민간 택지 사업이 어렵게 되자 건설사나 개발업체들이 공공택지로 대거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LH 등에 따르면 지난해 분양된 공동주택용지 50개 필지 가운데 47개 필지가 매각된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분양률이 94%, 매각 총 대금만 3조7천18억원에 달한다.
앞서 지난 2018년에는 지난해보다 많은 69개 필지가 공급됐지만 50개 필지, 72%만 매각된 것에 비하면 사실상 완판에 가까운 수준이다.
지난해 3월 장기 미분양 용지였던 양주 옥정지구 공동주택 용지 4개 필지를 비롯해 파주 운정3, 인천 검단, 오산 세교2, 화성 동탄2지구 등 2기 신도시 내 공동주택용지들이 모두 매각됐다.
같은 해 말 추첨 방식으로 분양된 평택 고덕, 이천 중리, 남양 뉴타운 등지의 공동주택용지 역시 입지상의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모조리 매각됐다.
김포 마송(B1블록)과 화성 비봉(B-3 블록) 등 2개 필지는 몇 차례 미분양 끝에 지난해 하반기 수의계약으로 주인을 찾았다.
이는 정부가 민간택지에도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면서 수도권 외곽의 중소규모 공동주택 용지들이 대거 팔려나간 것으로 풀이된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분양가 상한제로 사업 리스크가 커진 민간택지와 달리 공공택지는 똑같이 상한제가 적용되더라도 땅값(용지 매입가격)이 명확하므로 사업 예측이 가능하다"며 "일반 개발사업보다 리스크가 적다"고 전했다.
입지가 좋은 3기 신도시 용지는 분양까지 최소 1∼2년 이상 소요될 전망이어서 일단 수도권 외곽의 토지라도 잡아두는 건설사가 늘고 있다.
특히 정부의 광역급행철도(GTX) 건설과 지하철 연장 추진 등 기존 공공택지의 교통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점도 기존 택지의 몸값을 올려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재개발·재건축이나 일반 개발 사업에 대한 리스크가 커졌다"며 "정비사업과 개발사업 위축으로 중소 건설사는 물론 대형 건설사들까지 공공택지로 몰리면서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