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원시 소재 직장에 계약직으로 근무하는 박모(23·여)씨는 걱정이 태산이다. 당장 다음 달에 원룸 계약이 끝나는데, 집주인이 월세를 올리겠다고 했기 때문. 늘어난 월세 부담에 집주인에게 "대출을 받을 테니 전세전환 가능하냐"고 물었지만 돌아온 답은 "안 된다"였다. 손품과 발품을 팔아가며 집을 찾고 있지만 전세는 물량 자체가 없고, 마음에 드는 집은 보증금과 월세가 현재 집보다 비싸 골머리를 앓고 있다.
#2. 복학을 결정한 대학생 김모(21)씨는 기숙사 신청에 떨어졌다. 부랴부랴 대학가 원룸 매물을 살펴보고 있지만 보증금 1천만원 기준 평균 월세가 40만원이 넘어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학비에 이어 원룸 월세까지 부모님께 손을 벌리게 된 터라 마음이 무겁다.
부동산 중개업소 전세, 월세. /비즈엠DB
12·16 대책 후 전세 품귀·월세 올라 청년들 연초부터 '주거' 문제로 시름
홀로서기에 나선 청년들이 연초부터 '주거' 문제로 시름에 빠졌다. 정부의 '12·16 부동산대책' 이후 수요자들이 매수 대신 전세로 눈길을 돌리면서 주택 전세 시장이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감정원 '2020년 2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2월 3일 기준 수도권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10%로 지난주 상승 폭을 유지했다. 서울(0.05%)과 경기(0.13%), 인천(0.12%) 모두 전주 상승세를 지켰다.
이 같은 흐름은 1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원룸·오피스텔 등의 주거로도 이어지는 모양새다.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A씨는 "대출을 받아 전세하려는 세입자가 많은데, 서류 절차도 복잡하고 그 과정도 길어 집주인들이 꺼린다"면서 "집주인들은 바로바로 받을 수 있는 월세를 선호하다 보니 전세 물건이 없다"고 말했다.
특히 봄 이사 철까지 겹쳐 전세매물 자체가 귀해 값이 뛰는 경우도 부지기수. 박씨 사례처럼 월세를 올리는 임대인도 왕왕 있어 취업난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겐 주거비가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경기도시공사 전경. /비즈엠DB
주거난에 정부·지자체 '청년임대주택' 공급 경도공, 청년에 시세 30% 수준 주택 임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부를 비롯해 각 지자체 등에서는 청년들의 주거난 해소를 위해 청년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다.
경기도시공사(경도공)도 청년들을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경도공에 따르면 다가구·다세대·오피스텔을 매입해 개·보수를 한 뒤 시중시세의 30% 수준으로 청년에게 임대하는 '기존주택 청년매입임대' 예비입주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번에 공급하는 물량은 64호로 평택(24호)·용인(17호)·화성(10호)·수원(13호) 총 4개 시에 공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