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엠Pick e사람]'갓디야'도 수원에 매장낼 때 눈치(?)본다는 '뜰 커피' 대표의 성공 철학

  • 윤혜경 기자
  • 입력 2020-02-26 09:18:53
2020022502000019300065071.jpg
'수원에는 뜰이 있다' 뜰 커피 이성일 대표.

착한 가격과 맛,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 '수원인'들의 발길을 사로잡은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있다. 바로 '뜰 COFFEE(뜰 커피)'다.

지난 2008년 수원 토박이인 이성일 대표의 손에서 탄생한 뜰 커피는 '2천원 커피'로 유명하다. 최저임금 시급이 2008년 3천770원에서 2020년 8천530원으로 126.3% 올랐지만 뜰 커피 아메리카노 한 잔의 가격은 12년째 그대로다.

지속적인 물가 상승에도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대량'에 있었다.

이 대표에 따르면 현재 뜰 커피 매장은 40곳으로, 한 매장당 타사 브랜드 2~2.5배가량의 원두를 사용한다. 뜰 커피 40개 매장에서 사용하는 원두가 타사 브랜드 100곳에서 사용하는 양과 비슷한 셈이다. 한 업체와 계약을 맺고 꾸준히 대량의 원두를 사용한 결과, 가맹점에 품질 좋은 원두를 낮은 가격에 공급할 수 있게 됐다.

2020022502000019300065072.jpg
'수원에는 뜰이 있다' 뜰 커피 이성일 대표.

이 대표는 "뜰 커피는 2천원의 가격이 무너지는 순간 브랜드 가치가 없어진다. 2호점을 낼 때 가장 염두에 둔 것도 가격을 유지하는 방법이었다. 불현듯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가 뭉쳐서 한 업체의 물건을 꾸준히 대량으로 쓰게 되면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말이다. 결론적으로 보면 그 생각이 맞았다. 현실로 이뤄냈다"고 자신했다.

가격이 저렴하다고 해서 음료의 맛이 뒤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급의 그라인더로 원두를 분쇄하고, 상급의 머신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한다. 품질 좋은 원두를 좋은 장비로 내리는 만큼 향과 맛이 뛰어나다.

뜰 커피는 매장별 매출도 높은 편이다. 매장 40곳 중 상위 12곳(30%)은 하루에 300~400잔의 음료를 판매한다. 아메리카노 가격으로 계산했을 때 이들 매장의 일 매출은 60~80만원 가량. 이를 월매출로 환산하면 1천800만원~2천400만원이다.

나머지 중위 16곳(40%)은 하루에 200~300잔을, 하위 12곳(30%)은 200잔을 판매한다. 하루 매출은 각각 40~60만원, 40만원이며 월매출은 1천200만원~1천800만원, 1천200만원 정도다.

이 대표는 "예비 창업주에게 늘 '뜰 커피의 입지선정과 브랜드파워 때문에 일매출 50~60만원까지는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20~30만원 오르는 건 사장님 노력에 달렸다'라고 말씀드린다"라고 했다. 수익에 대한 사탕발림으로 가맹점 수를 우후죽순으로 늘려 본사의 이득을 취하자는 게 아닌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는 것이다.

2020022502000019300065073.jpg
뜰 커피 광교법조타운점

뜰 커피와 함께하겠다는 예비 창업주에겐 매장 입지에 대해서도 솔직히 조언한다. 임대료가 비싸더라도 다른 브랜드가 선점하지 않은 곳은 과감히 투자하라는가 하면 과밀 된 곳에서는 자리가 좋다고 부추기는 대신 접거나 기다리라고 한다는 것. 부동산시장의 '첫차와 막차' 논리다.

그는 "점포 늘리기에 연연해 가맹점 수가 50곳이 되도 10곳, 20곳이 망하면 망한 브랜드가 되요. 저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는 솔직하게,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다 알려드려야 함께 '윈윈'할 수 있어요"라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커피 프랜차이즈 점포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태도를 보여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대표는 "뜰 커피 매장이 40곳이나 되다 보니 이제 타사 브랜드가 수원에 진출할 때 뜰 커피 눈치를 보게됐다"면서 "특히 이디야커피가 그렇지 않나 싶다. 수원만 놓고 보면 승률은 낮지 않다. 자신있다"라고 당당하게 말했다.

뜰 커피에서는 타 프랜차이즈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점도 있다. 바로 물류의 자유다. 원두와 컵을 제외하고는 가맹점에 자유를 준다. 가맹점주가 바라는 것은 '자재를 싸게 공급받는 것'이라는 점을 이 대표가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본사의 마진이 적더라도 욕심을 내면 안 된다. 좋은 품질의 원두를 싸게 주고, 좋은 컵을 다른 곳보다 싸게 납품하면 가맹점과 본사는 싸울 일이 없다"고 호방하게 웃었다.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