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감정원 홈페이지 캡처. |
공동주택관리와 관련한 입찰시장 규모가 매년 증가해 지난해 낙찰금액 기준으로 6조원을 돌파했다.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내 관리비 집행을 위한 입찰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5년 2조7천714억원, 2016년 2조8천643억원, 2017년 3조9천456억원, 2018년 4조8천840억원, 2019년 6조6천605억원을 기록했다.
이 시스템은 공동주택 관리비와 유지·관리 이력, 회계감사결과 등 정보공개 및 전자입찰을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전자입찰 방식은 1조 997억원으로 전체의 16.51%를, 전자입찰을 통하지 않은 적격심사제는 3조 2천869억원으로 49.35%를 차지했다.
또 수의계약은 2조 2천739억원으로 34.14%를, 비(非)전자입찰에 의한 방식이 전체의 83.49%로 나타났다
전자입찰 방식은 제도가 의무화된 지난 2015년 이후 꾸준히 성장해 낙찰금액 기준으로 1조원을 넘어섰으나 전체시장 기준 16.51%로 여전히 비중이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한국감정원은 전자입찰 시스템에 적격심사기능을 도입, 낙찰자 선정방식 중 상대적으로 비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적격심사제를 전자입찰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공동주택 관리비정보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 또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