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도 서울 광화문 상가 공실률은 감소

  • 김명래 기자
  • 입력 2020-06-04 10:00:47
2020060402000005600010791.jpg
광화문 인근 오피스빌딩 전경./상가정보연구소 제공

코로나19 여파 속에서도 탄탄한 배후수요를 확보한 서울 광화문 일대 상가 공실률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가정보연구소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서울 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7.9%로, 전 분기(6.9%) 대비 1%p 증가했다.

하지만, 광화문 일대 공실률은 전 분기(4%) 보다 1.7%p 감소한 2.3%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순영업소득도 소폭 올랐다. 이 기간 순영업소득은 1㎡당 8만 6천원으로, 전 분기(8만 5천100원) 대비 900원 상승했다.

지난 4월 기준 광화문 상권 일평균 유동인구는 42만 1천1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월평균(30일 기준) 약 1천263만명의 유동인구가 광화문 상권을 찾는 셈이다.

상권 내 유동인구 구성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40대로, 각각 전체 유동인구 중 22.6%의 비중을 차지했다. 광화문 상권 인근에는 업무 시설이 많아 주로 30·40대(45.2%)가 많이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광화문 상권과 같은 업무시설 인접 지역 또는 주거시설 밀집 지역 등의 인근 배후수요가 풍부한 상권은 코로나19 피해가 상대적으로 덜했다"면서 "최근 정부가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착한 임대인 운동이 진행되고 있어 상가 시장의 분위기는 1분기 대비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