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전셋값 비싸 자금 조달 수월한 것도 청약시장 과열 원인"

  • 이상훈 기자
  • 입력 2020-06-08 11:13:47
2020060802000007800017861.jpg
입주 1년차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직방 제공

최근 청약시장 호황의 원인으로 비싼 전셋값으로 분양금 조달이 쉽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직방이 올해 기준 입주 1년 미만의 신축 아파트를 상대로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을 조사한 결과 전국 76.6%, 서울 86.3%, 인천·경기 76.4%, 지방 73.3%로 나타났다.

이는 2년 전인 2018년보다 전국 7.1%p, 서울 1.7%p, 인천·경기 5.8%p, 지방 6.8%p 각각 상승한 수치다.

서울·수도권보다는 지방의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서울의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은 4억원 이하가 90.0%로 가장 높았으며 4억∼6억원(89.8%), 15억원 초과(89.6%)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기존 아파트보다 29.6%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경기의 경우 6억~9억원 이하 구간이 90.7%로 가장 높았고, 그 외 분양가격대는 80% 이하였다. 지방은 모든 분양가격대가 80% 이하로 조사됐고, 분양가 15억원 초과는 53.7%로 상대적으로 낮게 집계됐다. 10%p 이상 높은 시도는 대전(25.1%p), 세종(20.3%p), 광주(12.6%p)였다.

이들 지역 모두 서울과 더불어 청약시장 호황이 이어지면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지 않는 곳이다.

직방 관계자는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고가 아파트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매매시장은 거래량 감소 등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런 매매시장의 안정세와 달리 청약시장은 수요가 집중되면서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청약시장의 호황은 분양 이후 발생하는 시세차익과 신축 아파트 선호뿐 아니라 전세를 활용한 자금 조달의 수월성도 원인으로 판단된다"면서 "서울의 경우 분양가의 80% 이상을 전세를 활용해 조달할 수 있어 초기 20%의 계약금만 자기자본만 필요한 상황이다. 중도금 대출도 주택담보대출처럼 규제를 받고 있지만, 기존 주택에 비해 높은 전세레버리지 효과는 자금조달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외에도 지방의 공공주택으로 거주의무기간을 확대하고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의 거주의무기간이 적용되면 현재와 같은 전세레버리지 효과는 줄어들 수 있다"며 "하지만 '아크로서울포레스트'와 '영통자이'의 사례와 같이 무순위 청약 등의 기회가 발생할 경우 청약수요가 집중되는 현상은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