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위례신도시 오피스텔 전경./상가정보연구소 제공 |
집값 안정을 위한 부동산대책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보다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직방 조사 결과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1만5천769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매 실거래가가 최초 공개된 지난 2006년 이후 동기간 평균 거래량(1만4천155건) 대비 11.4%, 작년 동기간(1만2천10건) 대비 31.3%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 서울은 5천312건 거래됐다. 예년 평균(2006년 이후 동기간 거래량 평균) 대비 7%가량 거래가 더 됐고, 작년 동기간 대비 56.3% 증가했다.
 |
| 경기 시별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직방 제공 |
경기는 3천907건으로 예년 평균보다 5% 거래 건수가 감소했다. 작년보다는 49.2% 늘었다. 인천 역시 총 1천785건 거래돼 예년 대비 55.3% 늘었고 작년 대비 3.1% 줄었다.
광역시와 지방은 각각 2천854건, 1천911건 거래돼 예년 평균과 2019년 비교해 모두 증가했다. 수도권보다 규제가 덜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신축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금천에서 404건 매매가 이뤄졌다. 2019~2020년에 입주한 신축 오피스텔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예년 평균보다 5배 이상 거래됐다. 은평도 예년 평균보다 2배 이상인 301건 거래됐다. 경기에선 이천이 55건으로 예년 평균보다 4배 가까이 거래됐으며, 수원 영통구는 2006년 이후 거래된 동기간 평균보다 3배 가까이 거래됐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자 인근 오피스텔까지 매수세가 형성되면서 광교 등지에서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액대별로 3억원 이하 오피스텔 거래가 가장 많았다. 3억원 이하는 전국에서 1만3천637건 거래가 이뤄졌으며 전체 대비 86%가량을 차지했다. 전용면적 기준으로 40㎡ 이하가 총 9천392건 거래되면서 전체 거래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직방 관계자는 "2000년대 초반에는 초소형 중심으로 임대수익을 목적으로 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오피스텔 공급이 진행됐다면, 최근에는 대출 규제 등 아파트 가격부담이 커지면서 아파트를 대체할 주거 상품을 찾는 수요자도 늘고 있다"며 "이에 오피스텔 공급도 아파트와 유사한 구조와 면적을 갖추고 편의시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실주거 형태의 단지형 오피스텔 공급이 조금씩 늘고 있어서 오피스텔 거래와 공급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조심스럽게 예측해 볼 수 있겠다"고 전망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