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운아파트 전경. /경인일보DB |
인천 중구 항운·연안아파트 1천191가구를 송도국제도시로 이주시키는 인천시 대책이 최근 확정(1월27일자 1면 보도=항운·연안아파트, 18년만에 이주대책… 주민 몽땅 송도로)됐다.
남항 인근 항만시설의 소음과 분진 등으로 환경 피해를 호소했던 주민들이 18년 만에 새로운 곳에서 거주할 길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항운·연안아파트 인근에는 오피스텔과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항운·연안아파트 이주대책과는 정반대로 주거사업이 이뤄지면서 의아함을 자아내고 있다.
연안 맞은편 지상 39층 오피스텔·항운 건너편 39층 주상복합 들어서
주민들 환경피해 소송도… 전문가 "10여년간 표류 남항 환경 변화 탓"
2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항운·연안아파트에서 차로 각각 1~2분 거리에 있는 곳에서 주거형 오피스텔과 주상복합아파트 건립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연안아파트 바로 맞은편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39층, 약 600실 규모의 A오피스텔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2026년 3월 입주를 목표로 하는 이곳은 연안아파트와 불과 약 300m 떨어져 있다. → 위치도 참조
항운아파트 맞은편 부지에는 B주상복합아파트가 준공을 앞두고 있다. B주상복합아파트는 지하 4층~지상 39층 규모로 아파트 520가구, 오피스텔 120가구로 구성됐다. 이곳은 오는 4월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항운·연안아파트 주민들은 인천항 물류단지를 오가는 대형 화물차와 항만시설의 소음·분진 등을 이유로 환경피해를 호소해왔다. 항운·연안아파트 주민들은 2001년 환경 피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인천시와 중구청을 상대로 소송을 내 승소했고, 인천시는 2006년 송도 9공구 아암물류2단지로 이주를 검토하겠다고 공식화했다.
인천시, 해양수산부, 주민 간 입장 차로 항운·연안아파트 이주 사업이 10여 년 동안 표류하는 동안 인천 남항의 산업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생긴 인천 신항으로 물동량이 집중되면서 인천 남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급격히 줄었다.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항운·연안아파트가 당시에는 (거주가) 바람직하지 않았던 지역"이라며 "항운·연안아파트 이전은 오래전부터 약속된, 역사성이 있는 사안인 데다 해당 아파트 주민들이 과거 열악한 주거환경에 희생됐던 것에 대한 보상의 의미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항 자체가 옛날과는 달리 항만산업이 쇠퇴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용한 땅을 방치할 수는 없으니 개발이익이 잘 나오는 주거지 개발이 늘어나는 것"이라며 "냉정하게 따진다면 일관성 없는 행정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해당 지역의 개발 여건이 바뀐 것과 관련해서는 현실적으로 누구를 탓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