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공임대주택 공실률 상위 10곳 중 9곳은 경기·인천

  • 입력 2023-02-13 18:16:02
수도권 공공임대주택 중 공실률이 높은 집 10곳 중 9곳이 경기·인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이 너무 좁아 수요자들의 외면을 받는다는 지적에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최소 면적을 확대하기로 한데 이어(2022년 6월 2일자 12면 보도=공공임대주택 1인가구 최소면적 16㎡→21㎡), 정부는 아예 두 가구를 하나로 합치는 리모델링을 통해 면적을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원희룡 "너무 좁은 면적, 열악한 인프라 원인" 지적
동탄 행복주택 찾아 "초소형 2개를 1개로 합치는 방안 추진"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공실률이 높은 수도권 공공임대주택 10곳 중 9곳이 경기·인천에 소재한다. 가장 높은 곳은 72가구 중 46가구가 비어있는 인천 옹진군의 한 공공실버주택이다. 같은 지역의 마을정비형 공공주택 역시 공실률이 63.3%다. 행복주택 중에선 김포 마송지역에 있는 주택의 공실률이 21.2%로 가장 높았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와 안정적인 거주 기간 등에도 불구하고 너무 좁은 공간, 열악한 교통·편의시설 등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날 화성 동탄 행복주택을 찾아 20㎡ 이하 초소형 주택의 공실 현황을 살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LH로부터 공공임대주택 공실률 상위 10곳에 대해 보고받은 후 "그간 공공임대주택 공실은 시설 노후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생각했는데 해당 10개 단지는 모두 2020~2022년에 입주한 곳들이다. 그 원인은 소형 면적과 열악한 주변 인프라였다. 주택 수요자들은 가족과 편하게 살 만한 적정 평형, 지하철역까지의 거리, 주변 편의시설을 꼼꼼히 확인하기 마련인데 과거엔 양적 확충에만 치중하다 보니 면적, 입지, 품질 등이 수요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 외면받은 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공실 해소를 위해 좁은 면적의 두 집을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6㎡ 면적의 임대주택 두 가구를 합쳐 32㎡로 넓히는 방식 등이다. 이어 초소형 임대주택의 신규 공급을 중단하고 보다 넓은 면적으로 역세권 등 선호 입지에 집중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