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가 올해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미분양 관리지역'에 포함됐다.
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제74회 미분양 관리지역 13곳 중 수도권에서는 인천 중구가 유일하게 지정됐다. 수도권에서 미분양 관리지역 지정 사례가 나온 것은 지난해 9월 안성과 양주 이후 6개월 만이다. 미분양 관리지역 지정 조건이 개정된 이후로는 인천 중구가 수도권 내 첫 번째 사례가 됐다.
500곳 → 1천가구 이상 기준 수정
공동주택재고 수 대비 2% 넘어야
'증가·저조·우려' 요건 모두 충족
HUG는 지난달 미분양 관리지역 지정 기준을 개정했다. 미분양 가구가 500개 이상이면 관리지역에 해당했으나, 개정 이후에는 미분양 1천가구 이상, 지역 내 공동주택재고 수 대비 미분양 가구가 2%를 넘어야 하는 내용이 기본 요건에 추가됐다.
공동주택재고란 해당 지역의 전체 주택 중 단독주택과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을 제외한 가구를 의미한다.
기본 요건에 추가로 ▲미분양 증가(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가구가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미분양 해소 저조(당월 미분양 가구 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 가구의 2배 이상인 지역) ▲미분양 우려(최근 3개월간 전월 대비 주택 인허가 실적이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등 3가지 요건 중 하나라도 해당이 되면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인천 중구는 3가지 추가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는 게 HUG 설명이다.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 사업 예정자는 분양(PF) 보증을 발급받기 위해 HUG로부터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한다. 주택 미분양 증가를 막기 위해 사전 심사 절차를 둠으로써 신규 공급 물량을 조절하기 위한 취지다.
HUG "향후 해소 가능성도 낮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31일 기준 인천 중구 미분양 물량은 총 1천2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인천지역 전체 미분양 주택 3천209가구의 31.8%에 달하는 물량이다.
지난해 4분기(10~12월) 중구에서 3개 단지 1천754가구에 대한 일반 분양이 진행됐는데, 신청 건수가 579건에 그치는 등 분양 시장이 위축된 영향을 피해가지 못했다.
올해 인천지역 분양 예정 물량(1만8천380가구)과 입주 예정 물량(4만4천984가구) 모두 지난해 물량을 웃돌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자칫 인천 내 다른 군·구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HUG 관계자는 "인천 중구는 지난해 11월에서 올해 1월 사이 영종국제도시를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했고, 향후 미분양 해소 가능성도 낮아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며 "인천이 서울, 경기와 비교해 분양 시장이 더 가파르게 하강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