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이 분양하는 아파트도 부동산 침체에 미분양 규모가 확대하고 있다. 미분양 해소를 위해 청약자격을 완화하고 중도금을 없애는 등 파격적인 조건을 내건 단지도 등장했다.
LH 인천지역본부는 26일 중구 영종국제도시에 공급한 공공분양 아파트 3개 블록(A33·37·60) 1천409가구의 추가모집 공고를 냈다. 이곳은 지난해 8~10월에 1천636가구 청약을 진행했는데, 불과 224가구만 청약을 신청해 미분양이 대거 발생했다. 미분양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지난달 A33 블록 296가구의 추가모집 공고를 냈지만, 5가구를 모집하는 데 그쳤다.
잇따른 청약 실패에 LH 인천본부는 조건을 대폭 완화하면서 추가모집에 나섰다. 전용면적 84㎡ 주택의 분양가가 3억8천만원에 책정됐는데, 분양대금의 40%에 해당하는 중도금을 잔금으로 이월해 입주 시점에 내도록 바꾼 것이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입주예정자들의 중도금 대출이자를 나중에 내도록 하는 조건을 내건 사례는 있었지만, 중도금 자체를 없앤 것은 최근 몇 년간 전례가 없었다는 게 LH 측 설명이다. 청약 신청자의 거주지역 제한 조건을 없애고, 유주택자의 청약 신청도 허용하는 등 적극적인 미분양 해소 대책을 내놓았다.
인천 미분양 3월 기준 1557가구
영종 추가공고 5가구 모집 그쳐
LH, 잔금으로 이월 '파격적 조건'
유주택자 청약 허용 등 적극 나서
인천을 비롯해 전국의 공공분양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1년 만에 급격하게 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국회의원이 최근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공공분양 주택의 미분양 물량은 29개 단지 5천54가구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3월에는 284가구에 불과했지만, 공공분양 주택 공급량이 많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18배가 늘어난 것이다. 인천은 영종국제도시 1천409가구와 검단신도시 내 148가구 등 1천557가구, 경기에서도 양주 옥정지구 1천305가구를 포함해 총 1천874가구의 물량이 입주자를 찾지 못한 채 남아있다.
이처럼 미분양이 늘어난 이유는 공공분양 주택에 적용되는 분양가 상한제의 이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된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지만, '거래 절벽'으로 민간 아파트 매매가도 계속 하락하면서 비슷한 수준에 형성되고 있다.
추가 모집을 진행한 영종국제도시 A60 블록 84.87㎡(전용면적) 공공분양 주택의 분양가가 3억9천153만원에 책정됐는데, 인근에 위치한 같은 면적의 민간 아파트가 지난달 3억9천700만원에 팔리는 등 가격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상황이다.
LH 인천본부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공분양 아파트의 미분양이 크게 늘면서 다양한 해소 방안을 내놓고 있다"며 "중도금 대출을 없애면서 입주예정자들의 자금 부담이 줄어든 만큼 미분양이 조기에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