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2030 기본계획' 수립 공고
산업 혁신·관리·정비형 3가지 개발
옛 유한양행 부지 시범사업 1곳 설정
군포시가 당정동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지구를 '산업혁신형'으로 개발한다.
2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9일 전국 최초로 '2030 군포공업지역기본계획'을 수립해 공고했다. 대상 지역은 관내 경부선 철도를 중심으로 한 동측 지역으로, 산업단지를 제외한 공업지역 약 2.34㎢다.
이번 공업지역기본계획은 과거 제조업 중심에서 미래 첨단산업으로 도약하는 '산업변화의 중심, 군포공업지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공업지역 관리유형을 ▲산업혁신형 ▲산업관리형 ▲산업정비형 등 세 가지로 나눴다.
산업혁신형은 당정동 구 유한양행 부지 일원으로,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지구 1개소를 설정해 공업지역산업혁신을 촉진, 주변 지역 정비를 견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산업관리형은 기존 산업의 쇠퇴 등으로 정비가 필요한 유형으로 기존 지구단위계획구역 등 17개소가 설정되며, 산업정비형은 기존 산업의 지속 육성·지원, 새로운 산업 유치를 위해 지원기반시설 등의 정비가 필요한 유형으로 대규모 공장부지 등 31개소가 포함된다.
특히 시는 기본구상안에 대해서도 ▲북부권역(역세권 중심의 복합거점 및 스마트 산업 유도) ▲중부권역(대규모 공장부지를 활용한 계획적 정비 유도) ▲남부권역(열악한 지역여건에 따른 민간의 자발적 정비 유도) 등으로 세분화했다.
북부권역은 금정역세권 활용 상업·업무 등 복합개발을 유도해 스마트제조업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며, 중부권역은 대규모 공장 이전 예정지 개발 시 주변 지역과 연계한 계획적 정비를, 남부권역은 기반시설 확보 가능한 국·공유지 부족에 따른 민간 개발사업을 각각 유도한다.
앞서 시는 2021년 1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 제정 시행에 따라 전국에서 가장 먼저 '공업지역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등 공업지역 정비사업이 실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향후 노후 공업지역의 정비 및 활성화를 위해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군포/신창윤기자 shincy2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