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개발 수립용역 자료 공개
미개발지 '신규사업 억제' 결론
영종도내 방치된 미개발지중 하나인 골든테라시티. /경인일보DB
인천시가 경제자유구역 해제 후 영종도 내 '미개발지'로 방치된 지역 여러 곳에 대한 개발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사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미개발지를 대상으로 한 신규 개발에 나서기보다 영종하늘도시, 골든테라시티(옛 미단시티) 사업 추진에 집중하게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영종 미개발지 개발전략 수립 용역' 결과 자료를 12일 공개했다. 이번 용역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영종, 용유·무의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용역을 통해 대상지 중 새롭게 개발이 가능한 곳을 물색하고, 경제성·타당성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재 영종도 내 미개발지 중에서도 개발사업이 가능한 지역은 11곳으로 정리됐다. 인천시는 이 중 평균 공시지가, 지장물, 주변지역과의 연계 등을 고려해 중산동 일원(중산지구)과 운남동 일원(운남지구), 을왕동 일원(을왕지구) 등 3곳을 도출했다.
중산지구는 '자족도시', 운남지구는 '행정', 을왕지구는 '관광·휴양'으로 개발 방향을 잡고 각각 지역에 대해 사업성을 분석했지만 사업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특히 중산지구와 운남지구는 내부수익률(IRR)이 각각 -3.94%, -5.35%로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인천시는 중산지구와 운남지구에서 각각 4만9천180명(2만156가구), 1만3천1명(5천328가구)의 인구계획을 세웠을 때 사업성을 따져봤다. 중산지구는 보상비 약 1조7천억원, 조성비 약 4천700억원 등 총사업비가 3조1천억원 가량으로 추산됐다. 수익에서 비용을 뺀 손익은 -1조2천927억원으로 오히려 손해를 봤다.
운남지구는 보상비 약 5천890억원, 조성비 약 1천954억원 등 총사업비 1조1천460억원 정도가 필요하다. 수익에서 비용을 뺀 손익은 -5천157억원으로 나타났다.
영종도에서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곳들의 분양 예정 물량이 해소되지 않아 신규 개발사업에 대한 당위성이 부족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 |
영종도 하늘도시. /경인일보DB |
관련 태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