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서1구역은 오랜 시간 동안 노후 주거지로 남아있었다. 일부 주택은 건축된 지 85년이 지난 주택도 있어 안전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도로 폭이 좁아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상황도 발생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0월, 추진위원회는 주민 동의율 42%를 확보하며 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동말지구와 서호지구가 하나의 구역으로 통합되면서 사업 규모가 커졌고, 현재 토지 등 소유자는 약 1,800여명에 달한다.
추진위원회 이유재 위원장은 “처음에는 반신반의하는 분들도 있었지만, 현재는 주민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다”며 “특히 고령층 주민들도 적극적으로 동의하고 있으며, 입주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재개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지역 내 부동산 가격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추진위 결성 전후로 빌라는 약 1억~1억 5천만 원, 아파트는 1억 5천만 원 이상 가격이 올랐다. 특히 영광아파트는 재개발 논의 전 3억 원대였으나, 현재 최고 4억 8천만 원까지 실거래가 됐으며 현재 매물이 귀한 상황이다.
화서1구역의 목표는 총 3,500~4,000여세대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계획하고 있으며 사업성을 고려해 최소한의 분담금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초·중·고등학교가 인근에 충분히 위치해 있어 교육 문제도 크지 않다.
다만, 팔달산 조망권을 고려한 경관 고도 제한 문제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다. 이에 대해 추진위는 “해결 가능성이 높으며, 수원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추진위는 올해 4월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후 50% 이상의 동의율을 확보해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설립및 사업승인인가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후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7년 내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추진위 이유재 위원장은 “화서1구역 입주시기에는 광교나 영통에 있는 아파트들은 노후화가 진행되기에 우리 지역이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